![]() |
↑ 사진=연합뉴스 |
한반도 평화를 기원하며 비무장지대(DMZ) 도보횡단을 추진 중인 미국의 여성운동가 글로리아 스타이넘은 11일(현지시간) "우리는 걸어서 DMZ를 횡단하기 희망한다"며 남·북한 정부 당국에 승인을 촉구했습니다.
스타이넘을 비롯한 '위민 크로스 디엠지(Women Cross DMZ)' 회원들은 이날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한반도 평화와 남북통일을 염원하며 남한과 북한을 가로막은 DMZ를 걸어서 넘고 싶다는 계획을 밝혔습니다.
회견에는 스타이넘 외에도 월트 디즈니의 손녀인 미국 영화제작자 애비게일 디즈니, 미국의 퇴역 육군대령인 앤 라이트, 수지 김 미국 럿거스대 교수, 정책분석가로 이 행사를 기획한 크리스틴 안, 정현경 미국 유니언신학대 교수 등이 참석했습니다.
이들은 오늘 5월 24일 12개국의 여성운동가 30명이 북한에서 남한으로 DMZ를 걸어서 넘는 구상을 추진 중입니다.
현재 한국정부, 북한정부, 그리고 비무장지대를 지키는 유엔군사령부의 승인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이날 기자회견에서 스타이넘은 "인류를 가로막은 가장 상징적인 시설이 DMZ"라면서 "DMZ를 걸어서 넘는 것이 나에게는 너무너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한반도 여성 평화걷기'로 이름붙여진 이 행사에는 1976년 노벨평화상 수상자인 북아일랜드의 메어리드 매과이어와 2011년에 노벨평화상을 받았던 라이베리아의 리마 보위 등도 참가할 계획입니다.
행사 승인과 관련해 크리스틴 안은 "DMZ를 지키는 유엔군사령부는 한국정부의 동의를 전제로 잠정 승인했으며, 북한은 원칙적인 승인 방침 아래 여건이 성숙하면 최종 허락하겠다는 입장"이라면서 "아직 한국정부는 공식적인 언급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이들은 승인이 나지 않으면 어떻게 할지는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다만
이들은 또 현재 한반도는 휴전 중이라는 사실을 언급하고 나서 평화협정을 맺어 전쟁상황을 끝내도록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등이 나서 줄 것을 요구하는 온라인 청원운동을 곧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