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년 전 역사 문제로 터키정부가 프랑스와의 교류중단을 선언했습니다.
프랑스와 터키정부 간에는 어떤 사연이 있었던 것일까요.
이진례 기자의 보도입니다.
【 기자 】
▶ 인터뷰 : 루이스 지스카르 데스탱 국민의회 의장
- "(아르메니아인 대학살을 부인하면 처벌받는 내용의) 법안을 표결에 부칩니다."
프랑스 국민의회가 제1차 세계대전 말인 1915년 터키군이 자행한 아르메니아인 150만 명 대량학살을 부인할 때 처벌하는 내용의 법안을 통과시켰습니다.
▶ 인터뷰 : 루이스 지스카르 데스탱 국민의회 의장
- "법안이 채택됐습니다."
가결된 법안에 따르면 대량학살을 부인하거나 최소화한 사람은 최고 징역 1년과 벌금 4만 5000유로, 우리 돈으로 약 6,700만 원에 처합니다.
이는 홀로코스트를 부인하는 사람에 대한 처벌과 같은 수준으로, 프랑스는 2001년 아르메니아인 학살을 대량학살로 공식 인정한 바 있습니다.
현재 프랑스에 사는 약 50만 명에 이르는 아르메니아인들은 의회의 결정을 환영했습니다.
▶ 인터뷰 : 이지키안 / 아르메니아인(법안통과 참관)
- "법안 통과에 만족합니다. 우리의 어머니들과 아버지들은 거짓말쟁이가 아니었습니다. 우리의 선대는 대량학살에 희생됐습니다. 일부는 살아남았지만, 나머지는 목숨을 잃었습니다."
하지만, 터키정부는 주터키 프랑스 대사를 소환하는 등 즉각적으로 반발했습니다.
▶ 인터뷰 :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총리
- "이 시점부터 터키는 프랑스와의 정치, 경제, 군사적 활동을 중단합니다. 그 밖의 교육프로그램과 인적교류 등도 중단합니다."
현재 터키는 아르메니아인의 집단학살이 터키의 전신인 오토만 제국이 저지른 것이 아닌, 아르메니아 내전에 따른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100년 전 과거사로 갈등을 빚는 프랑스와 터키의 관계는 당분간 교착상태에 머물 것으로 보입니다.
MBN뉴스 이진례입니다. [eeka232@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