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최근 정부가 아프리카와 중동 등에 자원외교를 집중적으로 전개하는 가운데 또 다른 자원 부국 몽골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몽골은 1990년 시장경제체제를 도입한 이후 급속한 경제성장을 보이고 있는데요.
mbn과 매일경제가 미래 해법을 제시하는 포럼을 열었습니다.
울란바토르에서 정성일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자원 부국 몽골의 성장이 만만치 않습니다.
몽골의 주식시장은 지난해 만 4천에서 올 들어 3만을 돌파해 두 배를 넘었고 경제성장률 전망은 상상을 초월합니다.
국제통화기금 IMF가 전망한 2013년 몽골의 경제성장률은 무려 23%.
이는 경이적 수준으로 앞으로 10년 내에는 경제 규모가 4배 이상 커질 것이란 전망이 나오면서 세계 경제의 다크호스로 등장하고 있습니다.
몽골의 급성장이 시작되자 몽골에 대한 투자가 큰 관심을 끄는 가운데 몽골 진출에 대한 해법을 제시해주는 포럼이 열립니다.
mbn · 매일경제가 주최하는 이번 포럼은 몽골 바트볼트 총리가 참석하는 가운데 내일(8일) 몽골의 수도 울란바토르에서 열립니다.
매일경제·mbn 장대환 회장은 이번 포럼이 '원 아시아'를 향한 한-몽골 동반자 관계의 초석이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행사는 원 아시아 시대의 한국과 몽골의 전략적 협력 방안의 세션 1과 몽골 경제발전 로드맵의 세션 2로 나눠서 진행됩니다.
포럼에는 한국 측에서 정장선 국회의원
▶ 스탠딩 : 정성일 / 기자 (몽골 울란바토르)
- "매일경제가 '원 아시아'의 일환으로 개최하는 이번 행사는 자원 부국 몽골의 길을 여는 해법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몽골 울란바토르에서 MBN 뉴스 정성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