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공군의 차세대 스텔스기 도입 후보로 거론되고 있는 F-35, F-15SE, 유로파이터 타이푼(사진 왼쪽부터). <사진 제공=공군·보잉>
중국이 최근 자체 개발한 스텔스기 `J(젠)-20` 시험비행에 성공한 데 자극받아 일본도 독자 기술의 스텔스기 개발 완료 시점을 앞당기는 문제를 적극 검토하고 있다. 우리 정부와 군 당국은 스텔스 전투기를 도입하는 차세대 전투기(FX 3차) 사업을 서두르고 있다. 정부 소식통은 30일 "차세대 전투기 사업을 빨리 추진해야 한다는 정부 내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며 "올해 정책연구 용역비 예산 3억원이 반영돼 있지만 필요하면 방위력 개선사업 예산 조정을 통해 사업 착수금도 추가로 편성할 수 있다"고 밝혔다.
앞서 정부는 시험비행에 성공한 것으로 알려진 중국의 스텔스기 `J(젠)-20`의 성능과 제원에 비상한 관심을 가져왔다. 김관진 국방부 장관은 J-20의 시험비행이 알려진 뒤 "중국 스텔스기 능력이 어느 정도인지 파악하라"는 지시를 방위사업청에 내린 것으로 확인됐다.
방사청 관계자는 "J-20의 기체 형태를 다른 기종과 비교 분석하고 이륙 모습을 담은 동영상을 판독한 결과 Su-27(러시아 스텔스기)과 F-22(미국 스텔스기)의 중간 정도 기술력을 가진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며 "RCS(레이더 회피율)도 F-22의 약 10분의 1 수준일 것으로 보고했다"고 말했다.
이 같은 보고를 받은 김 장관은 최근 방사청에 차세대 전투기 사업에 대해 "빨리 추진할 방안을 마련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스텔스 전투기 도입을 서둘러야 한다는 정부 내 목소리가 커지면서 분위기가 달라져 이르면 2015년부터 전력화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방사청은 내년 초 사업공고를 통해 후보업체들의 제안서를 받고 업체가 제시한 기종에 대한 시험평가를 거쳐 내년 8월 기종을 선택해 계약을 체결하게 된다.
방사청 관계자는 "계약 체결 이후 첫 물량을 인수받기까지 4년 정도 걸리기 때문에 2016~2020년(60대 도입 기준)에 전력화할 수 있다"며 "사업 추진 일정을 최대한 앞당기면 2015년부터 전력화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차세대 전투기 후보 기종으로는 록히드 마틴의 F-35, 보잉의 F-15SE, 유럽항공방위우주산업(EADS)의 유로파이터 타이푼(개량형) 등이 거론된다.
일본도 우리나라와 도입 시기가 같은 2016년을 목표로 자체 스텔스 전투기인 `신신(心神ㆍATD-X)`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007년 일부 일본 언론은 "일본 방위성이 2008년 4월 스텔스기 개발 6개년 프로젝트에 착수한다"고 보도했다. 군사 전문가들은 중국 스텔스기 개발로 완성
이날 산케이신문에 따르면 일본은 실제 전투기의 5분의 1 크기인 무인 모델기를 이미 완성한 상태다. 일본은 또 미국 영국 등 9개국이 공동 개발하는 스텔스기 F-35 도입도 추진하고 있다. 앞서 또 다른 스텔스기인 F-22기를 미국에서 도입하려다 좌절되자 F-35기를 대체 도입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매일경제 임태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