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개월 투자 관점에서 한국·브라질을, 1년 관점에서 한국·중국·인도 증시를 선호한다. 선진국 경제활동이 빠르게 회복될 것이라는 믿음이 신흥 증시의 하방을 지지할 것이다. 단기적으로는 미국과 중국의 상이한 정책 기조, 코로나19 재확산과 불안한 백신 수급, 이에 따른 신흥국의 경기 역행적 인플레이션 우려가 투자심리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한다.
길게 보면 글로벌 경기 회복이 신흥국 투자심리를 회복시키겠지만, 단기적으로는 지난 3월 이후 확대된 선진국과 신흥국의 증시 성과 괴리를 크게 좁히기는 어려울 것이다. 미국은 다양한 부양책을 통해 상대적으로 빠른 경기 회복을 이끌고 있다. 반면 1분기 신흥국은 금리 상승과 긴축 우려로 투자심리가 위축됐고, 이로 인해 선진국 증시 성과를 하회했다. 4월에도 반등은 제한적인 모습인데, 코로나19 재확산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물론 코로나19란 하나의 변수만으로 신흥국 투자심리가 결정되지는 않는다. 다만 백신 접종과 통화정책은 경기 회복과 높은 상관성이 있다는 점을 상기해야 한다. 신흥국 백신 접종률은 선진국을 크게 하회하고, 중앙은행은 물가 안정과 경기 회복을 동시에 가져갈 정책 카드가 제한적인 점도 투자심리에 투영되고 있다고 판단한다.
신흥국 증시 반등이 제한될 것으로 판단하는 또 다른 이유는 '선진 vs 신흥'을 각각 대표하는 미국과 중국의 증시 성과가 격차(1분기 상하이종합지수 0.9% 하락, S&P500지수 5.8% 상승)를 보이기 때문이다. 대내 관점에서 중국 정부는 유동성 공급의 빠른 확대가 조심스러운 상황이고, 반독점법 같은 기술기업 제재로 투자심리 회복에 시간이 걸릴 것이다. 대외적으론 중국의 '레드라인'을 놓고 미국과 정치적 충돌이 지속 중이다.
신흥국 경제활동이 재개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코로나19가 재확산할 텐데 투자심리는 확산 강도에 주목할 것이다. 대부분 신흥국의 이동량 데이터를 보면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회복 중이다. 자가 방역에 무뎌진 것도 있지만 신흥국 정부가 경기 둔화를 막기 위해 봉쇄 조치는 최대한 지양하기 때문이다. 이때 백신 민족주의가 신흥국의 집단면역을 늦출수록 투자심리에는 부정적이다. 미국의 부양책과
[이창민 KB증권 WM스타자문단 연구위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