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판 뉴딜펀드 시동 ◆
↑ 제1차 한국판 뉴딜 전략회의가 3일 오전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가운데 문재인 대통령의 모두발언을 관계 장관들이 경청하고 있다. [이충우 기자] |
특히 증권사와 은행에서 판매하면서 접근성은 향상되겠지만 물류센터와 데이터센터를 비롯해 수소충전소, 태양광발전소를 개발하는 시행 사업 성격을 가지고 있어 실제 투자 시점부터 수익을 내기까지 장기간이 필요한 점으로 볼 때 기대수익률이 높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최근 증시에서 유사하게 거론되는 리츠상품이 5% 안팎의 높은 수익률에도 외면받는 점에 비춰 인센티브나 세제 혜택, 적극적인 정부 지원이 추가로 제시돼야 한다는 분석이다.
실제 시장에선 민간 뉴딜펀드를 제외한 정책형 뉴딜펀드나 뉴딜 인프라펀드는 정부의 정책·세제 지원에도 불구하고 긴 펀드 만기로 개인투자자들이 큰 관심을 갖지 않을 것이란 지적이 나온다.
한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인프라펀드는 특히 장기 투자가 필요한 시점이어서 그동안 기관투자가들이 사모펀드로 운용하지, 입출금이 자유로운 공모펀드로 운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면서 "공모로 만들더라도 단위형(추가 설정 불가능)이나 폐쇄형(중도 환매 불가능)으로 만들어야 하는데 그럴 땐 관심이 떨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인프라펀드는 매년 인컴 수익을 받다가 청산 시점에 투자자산 가치 상승분까지 반영한 금액이 최종 수익이 되는데 나중에 정권이 바뀐 후 인프라 투자자산에 대한 시장 가치가 떨어지면 수익률이 악화될 우려도 있다. 지금이야 신재생이나 5G가 떠오르는 투자 테마지만 펀드 만기인 5~7년 후엔 관심이 시들해질 수 있다.
정부가 예시로 든 미국 데이터센터 나 5G 통신망 사례는 실제 매출 성장에 기여하고 있지만 시장 규모가 작은 국내 실정에서 벤치마킹을 통해 같은 성공 사례가 될지는 미지수다.
신재생에너지 투자수익률도 불분명하다. 현재 국내 운용사의 신재생에너지 인프라펀드가 대부분 발전 자회사로부터 정해진 인프라 사용료를 받는 구조다. 그렇다 보니 신재생에너지 산업 수익성과 상관없이 운용사는 안정적으로 중수익을 올리고 있다.
그러나 인프라 시설이 국내보다 해외 비중이 커 국내 사업장만을 대상으로 하는 신규 인프라 프로젝트 발굴은 기존 프로젝트보다 수익성이 떨어질 수 있다. 한 증권 업계 관계자는 "뉴딜펀드는 해외투자는 배제하고 국내에서 신재생에너지나 5G 관련 투자로 수익을 보는 구조인데 작은 국내 시장에서 수십조 원에 달하는 투자 사업이 바로바로 매칭되기는 어렵다"면서 "지역별로 수익성이 높게 나올 수 있는 태양광·풍력발전소가 적을 수도 있으며 투자할 수 있는 사업을 확보하더라도 실제 시행까지 시간이 걸려 개인투자자들이 원하는 환금성은 떨어지고 펀드 만기가 굉장히 길어질 수 있는 구조"라고 지적했다.
정책형은 원금보장형이고, 인프라형은 세제 혜택이 동반되지만 높은 수익률이 뒤따라주지 않으면 투자자에게 외면받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예컨대 주식시장에서 리츠상품이 연간 5%의 고금리 상품이나 마찬가지임에도 기업공개(IPO) 시장에서 주목을 받지 못하는 것과 유사하다.
그간 관제펀드의 악몽이 나타날 가능성도 있다. 앞선 정권을 대표했던 관제펀드들이 시장에서 외면을 받아왔기 때문이다. 예컨대 2008년 이명박정부의 녹색성장 정책에 맞춰 나왔던 '녹색펀드
박근혜정부의 이른바 통일 대박을 위한 '통일펀드'도 마찬가지였다. 마이너스 수익률을 극복하지 못하면서 차례로 청산됐다.
[김제림 기자 / 진영태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