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과 KEB하나은행이 판매한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펀드(DLF)가 대규모 손실 논란을 빚고 있는 가운데, 두 은행이 판매한 DLF 상품 판매액의 약 20%가 최고수익 연 3%대 상품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투자자들은 최고 연 3%의 수익률을 기대하고 돈을 넣었다가 최악의 경우 원금 대부분을 잃었습니다.
오늘(21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병욱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26일 현재 두 은행이 판매한 DLF는 총 3천535건, 7천626억원어치입니다.
이들 상품의 최고수익을 살펴보면 연 3% 이상∼4% 미만인 상품의 판매는 574건(16.2%), 1천485억원(19.5%)으로 집계됐습니다.
연 4% 이상∼5% 미만 상품은 2천575건(72.8%), 5천287억원(69.3%) 판매됐습니다.
최고수익 연 3∼4%대 상품을 합하면 3천149건(89.1%), 6천772억원(89.8%)으로 대부분을 차지합니다.
최고수익 5% 이상∼6% 미만 상품은 380건(10.8%), 816억원(10.7%)이었습니다. 6% 이상 상품은 6건(0.2%), 38억원(0.5%) 판매되는 데 그쳤습니다.
은행별로 하나은행은 최고수익 3%대 상품 340건을 판매했습니다. 금액으로는 전체의 20.7%인 826억원에 이릅니다.
우리은행은 3%대 상품 234건, 659억원(18.1%) 팔았습니다.
김병욱 의원은 "리스크는 고객이 모두 지고 수익률은 연 3%대밖에 되지 않는데 금융사들은 DLF 설계·판매·관리 명목으로 리스크 없이 6개월에 최대 4.93%의 수수료를 챙겼다"며 "구조적으로 투자자에게 불리한 상품"이라고 꼬집었습
김 의원은 또 "최고이익이 3~4%대에 불과해 은행으로부터 정확한 설명 없이 '예·적금 금리보다 조금 높은 상품'으로 안내받고 가입한 고객도 상당하다"며 "이로 인해 초고위험 상품이란 점을 인지하지 못한 경우가 많아 피해가 커진 측면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