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기금리 하락이 은행 자산의 위험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예컨대 완화적 통화정책이 은행의 대출자산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다.
경제연구원은 10일 발표한 '은행의 수익 및 자산구조를 반영한 통화정책 위험선호경로'를 주제로 한 'BOK경제연구'에서 이 같이 주장했다.
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경우 단기금리가 은행의 위험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단기금리(91일물 CD금리) 하락이 은행의 자산에 부정적 영향을 줬다. 예컨대 금리가 1.6%포인트 하락할 경우 은행의 위험가중치는 평균적으로 2.1%포인트 상승하는 것으로 추정됐다고 경제연구원은 밝혔다.
이 결과를 통해 경제연구원은 "완화적 통화정책은 금융기관의 위험선호도를 높이고, 이로 인해 고위험·고수익 대출 등을 중심으로 신용공급이 확대되며 은행이 보유한 대출자산의 질(quality)이 악화될 가능성 있다"고 평가했다.
정호성 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우리나라에서도 통화정책의 위험선호경로가 작동하고 있어 통화정책이 신용의 양(quantity)뿐만 아니라 질(quality)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풀이했다.
이런 영향은 은행의 수익성이 높을수록 그 크기가 감소하는 것으로도 분석됐다. 연구 결과 순이자마진이 1.2%포인트 상승하면 은행의 위험가중치는 평균적으로 1.9%포인트 하락했다.
또 은행의 자본구조는 단기금리와 위험수준과의 관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번 연구는 한국은행이 보유하고 있는 2000년 3월부터 2018년
[디지털뉴스국 전종헌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