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연금 스튜어드십코드 대란 (上) ◆
한국형 스튜어드십 코드 발전 방안을 놓고 정은수 슈로더자산운용 한국 대표가 전하는 조언이다. 슈로더는 스튜어드십 코드가 가장 먼저 도입된 영국 최대 자산운용사 중 하나다. 그는 최근 매일경제와 인터뷰하면서 "영국을 비롯한 선진국은 스튜어드십 코드에 입각해 투자하는 것이 프로세스로 정착된 지 오래"라며 "별도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펀드가 필요 없을 만큼 사회에 뿌리내린 투자문화로 자리 잡았다"고 말했다. 모든 펀드를 만들 때 ESG 원칙에 따라 투자할 기업을 걸러내기 때문에 ESG 펀드라는 이름을 붙여 따로 상품을 내놓는 것이 이상하게 보일 정도라는 얘기다.
그는 사회가 자발적으로 스튜어드십 코드를 준수하려는 문화가 조성됐기 때문에 이 같은 투자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제 막 스튜어드십 코드가 정착되고 있는 한국과는 사정이 사뭇 다르다는 의미다.
여건이 조성되지 않았는데 속도에만 매달리면 스튜어드십 코드에 대한 오해가 생길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기 수익률을 목표로 하는 개인투자자가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 이후 수익률이 떨어질 것으로 판단한다면 '왜 운용사가 수익에 집중하지 않고 딴짓을 하느냐'고 항의할 가능성이 있다. 사회 전체가 스튜어드십 코드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는 게 중요하다는 설명이다.
정 대표는 "미디어에서조차 ESG 펀드 수익률이 코스피 대비 높으냐, 그렇지 않으냐에만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며 "제대로 된 ESG 펀드가 나오려면 정량적 지표 외에 정성적인 면까지 평가할 수 있는 수단이 나와야 한다"고 말했다.
제도적으로 스튜어드십 코드를 도입하기 위한 여건이 더
[홍장원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