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저축은행들이 신용등급 8등급 이하 저신용자에 대해 대출원가를 반영하지 않은 채 4~7등급 중신용자에 물리는 대출이자와 엇비슷한 수준의 금리를 적용하고 있는 것도 대출 부실화 위험을 키울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와 관련해 저신용자에 대한 무분별한 대출 관행에 제동을 걸어야 한다는 주문이 쏟아지고 있다. 8일 예금보험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1~9월 신규 취급된 저축은행 개인 신용대출 4조원 중 대출금리가 연 20% 이상을 넘는 고금리 대출 금액은 전체 신용대출액의 72% 수준인 2조9000억원에 달했다. 1~4등급 고신용·중신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은행권 대출과 달리 저축은행 개인 신용대출은 4등급 이하 중·저신용자가 타깃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저축은행에서 돈을 빌린 개인(담보대출 포함) 중 99.5%가 신용등급 4등급 이하인 중·저신용자였다. 문제는 신용등급 4~7등급의 중신용자보다 상대적으로 대출 회수 가능성이 낮은 저신용자(8~10등급)에게 저축은행을 중심으로 대출이 과도하게 쏠리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해 말 한국은행이 국회에 제출한 '2016년 12월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다중채무자이면서 저신용인 이른바 '취약 차주'에 대한 대출 규모는 78조6000억원인데 금융업권별로 보면 은행(3.7%)보다 비은행(10%) 비중이 높았다. 비은행 가운데서도 저축은행 다중채무자 대출 비중(85%)이 상호금융(36%)이나 여신전문금융회사(43%)를 크게 웃돈 것으로 나타났다.
금감원과 예보는 중신용자와 저신용자 금리 수준이 대동소이하다는 게 문제라고 지적한다. 저신용자는 대출 회수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그만큼 대출원가가 높아 상대적으로 더 높은 금리를 적용해야 하는데 오히려 차이가 없어 사실상 '금리 역전'이 일어나고 있다는 얘기다. 예보 관계자는 "9~10등급인 저신용자 대출을 보면 신용원가 대비 대출금리가 오히려 낮은 경우가 많다"며 "9~10등급에 대한 대출 취급을 줄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신용자에 대한 비합리적 대출금리 책정이 오히려 중신용자에 대한 대출금리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저금리 장기화로 은행보다 상대적으로 금리가 높은 저축은행으로 예·적금 등 수신이 쏠리면서 조달 여력이 커진 저축은행들이 대출을 큰 폭으로 늘리고 있다. 지난해 9월 말 현재 저축은행의 개인 신용대출 잔액은 8조47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7.9%(2조3300억원) 증가했다. 저축은행 전체 대출에서 개인 신용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4년 말 17.3%에서 2015년 말 18.3%, 지난해 9월 말 기준 20.6%로 20%대로 올라섰다.
정부 관계자는 "여신 심사 노하우가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저축은행이 1금융권보다 대출을 경쟁적으로 늘리는 과정에서 부실화 위험이 더욱 커지고 예보 부담 역시 늘어나고 있다"고 우려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지난해 저축은행 14곳의 금리 체계 점검
[정석우 기자 / 노승환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