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23일 “금융안정 측면에서 세계경제가 직면한 가장 큰 리스크는 미국의 완화적 통화정책이 정상화되면서 나타날 국제적 파급효과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이날 오전 ‘금융안정 평가와 중앙은행에 대한 정책 시사점’을 주제로 연세대학교에서 열린 한은-연세대 국제컨퍼런스 개회사에서 최근의 금융안정 리스크를 이같이 진단하고 “해외충격에 대비해 경제체질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미국의 금리인상을 계기로 그동안 선진국에서 신흥국으로 흘러갔던 국제유동성이 환류되면서 신흥국들은 금융과 실물 양 채널을 통해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말했다. 신흥국으로부터의 자본유출이 자국통화 절하, 주가 하락 등 금융시장 불안을 초래하는 한편 시장금리의 동조적 상승이 실물경기 회복을 지연시킬 수 있다는 설명이다.
그는 이어 “중국의 금융·실물 불안으로 인해 그동안 중국과의 교역을 통해 동반 성장해 온 신흥국들의 금융안정이 저해되고 성장모멘텀이 약화될 우려가 커지고 있다”면서 “특히 중국의 수입수요가 감소하고 원유 등 국제원자재 가격이 약세를 나타냄에 따라 아시아 신흥국과 자원수출국의 금융·경제 여건이 악화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러면선 이 총재는 해외충격에 대비해 금융부문 및 거시경제의 건전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그는 “수출경쟁력 강화를 통한 경상수지 개선 등으로 대외지급능력을 확충하는 한편 적절한 외환부문 거시건전성 정책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특히 “보다 근본적으로는 내수기반 확
이 외에도 민간부채의 증가속도를 완화하고 부채구조를 개선하는 노력과 함께 금융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정책당국간, 국가간 협력 필요성을 언급했다.
[매경닷컴 전종헌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