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처를 찾지 못한 단기 부동자금이 750조원을 돌파하면서 또다시 사상 최대치를 보였다. 정부가 증시·부동산 정책 등을 통해 경기 부양에 나섰지만 아직 효과를 보이지 못하는 모습이다.
28일 금융투자협회와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8월 말 현재 단기 부동자금은 757조4383억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단기 부동자금 중 현금이 59조원, 요구불예금 133조원,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 352조원, 머니마켓펀드(MMF) 61조원, 양도성예금증서(CD) 17조원, 종합자산관리계좌(CMA) 37조원, 환매조건부채권(RP) 9조원 등으로 MMF 수치 등은 정부와 비거주자 보유분을 제외한 것이다.
여기에 6개월 미만 정기예금 67조원과 증권사 투자자예탁금 16조원을 합해 시중에 대기 중인 단기 부동자금을 구했다.
전체 단기 부동자금은 지난 2008년 말 540조원에서 세계 금융위기를 겪으며 2009년 말 647조원으로 급증했다.
이후 2010년 말 653조원, 2011년 말 650조원, 2012년 말 666조원으로 정체를 보이다 지난해 말 713조원으로 다시 늘었다.
올해 들어서는 1월 말 721조원 수준에서 시작해 5월 말 732조원으로 늘었고 6월말 736조원, 7월 말 739조원에서 8월 말 757조원으로 껑충 뛰었다.
정부가 새 경제팀을 정비하며 각종 경기 부양책을 쏟아냈지만 투자자금이 시장으로 크게 유입되진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은행 상품은 올해 두차례 인하로 기준금리가 연 2.0%까지 하락해 매력이 크게 떨어진 상황이다.
만기 1년짜리 기준으로 국민은행 국민수퍼정기예금과 신한은행 신한S드림 정기예금, 우리은행 우리유후정기예금은 이자가 2.10%이고 하나은행 고단위플러스 금리확정형은 2.00%이다.
코스피는 정부의 경기 부양 정책으로 지난 7
그나마 정부가 주택담보대출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 완화에 나서며 부동산 시장이 활기를 찾았지만 이마저도 강남지역에 집중되는 모양새다.
[매경닷컴 속보부]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