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년 새 건설업종, 특히 시행사들의 신용도가 크게 악화된 것으로 분석됐다.
금융감독원은 주채권은행들이 올해 금융권 신용공여 500억원 이상 대기업 중 601개사에 대해 신용위험평가를 실시한 결과 워크아웃 추진 대상 C등급 기업 11개사와 기업회생과 같은 법원 주도의 구조조정을 추진해야 할 D등급 23개사를 선정했다고 20일 밝혔다.
금감원에 따르면 구조조정 대상 업체는 총 34개로 지난해 40개보다 소폭(6개) 감소했다. 주채권은행이 부실기업과 미리 재무구조개선 약정을 체결해 선제적으로 구조조정을 실시한 효과라고 금감원은 설명했다.
반면 올해 D등급으로 선정된 업체는 23개로 지난해 13개보다 2배 가까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지난 1년 새 자금난을 해결하지 못해 파산위기에 처한 기업이 그만큼 늘었다는 얘기다.
건설업종의 불황이 심각하다. 올해 구조조정 대상 업체 34개 중 21개(61%)가 건설사로 나타났다. D등급 업체 23개 중에서도 17개(74%)가 건설사다. 구조조정 대상이 된 건설사 중 대부분은 시행사인 것으로 알려졌다.
민병진 금감원 기업금융개선국장은 "작년 B등급이었던 회사 중 1년 새 D등급으로 두 단계나 신용도가 하락한 기업이 크게 늘었다"며 "시행사들 다수가 부동산 경기 침체로 인한 유동성 위기를 막지 못하고 자금난에 빠졌다"고 말했다.
올해 C등급에 선정된 회사는 건설사 4개, 조선ㆍ해운사 1개, 철강ㆍ시멘트 1개 등이다. C등급에는 해양플랜트 업체 E사, 엔지니어링업체 H사도 포함됐다.
D등급에 선정된 회사 중 건설사는 17개, 조선ㆍ해운사는 12개였다. 올해는 제약회사인 S약품이 새로 포함됐다. 이외에도 최근 부도 처리된 T건설, 솔루션 업체 M사 등이 있다. D등급을 받은 업체는 자체적으로 정상화 방안을 마련하지 못하면 법원에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해야 한다.
C등급을 받은 업체는 주채권은행에 워크아웃을 신청하고 경영정상화 계획을 제출하게 된다. 채권단은 자산 부채 실사 결과를 토대로 경영 정상화 계획을 최종 확정하고 추가 자금을 지원하게 된다.
민 국장은 "채권 금융기관이 단기 자금 회수에 치중하기보다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기업을 정상화시킬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중재하겠다"고 말했다.
금감원은 A~B등급을 받은 정상 기업이 갑자기 회생절차를 신청하거나 합리적 이유 없이 워크아웃이 중단되는 경우 검사를 실시해 신용위험평가 및 워크아웃 기업 사후관리의 적정성 등을 철저히 점검할 예정이다.
이번에 확정된 구조조정 대상 기업의 금융권 신용공여액은 3조5000억원에 달한다. 이 중 은행권의 신용공여액이 3조원가량으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며 저
더욱이 자금난을 겪고 있는 동부제철의 자율협약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으면 올해 하반기에도 부실기업을 둘러싼 구조조정 문제는 계속될 예정이다.
[안정훈 기자 / 배미정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