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고등학교 2학년 선수 중 NO.1은 자타 공인 장현석(17. 마산 용마고)다.
190cm/90kg의 듬직한 체구에서 뿜어져 나오는 최고 156km의 광속구가 주무기인 투수다. 공이 더 빨라질 수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한화 팬들이가면 가슴 설레는 이름이 될 수 있다. 문동주-김서현에 이어 장현석까지 품게 되면 팀의 10년 미래를 책임질 광속구 트리오를 구성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 |
↑ 장현석 이전에 최대어로 꼽혔던 북일고 김휘건. 사진=대�h야구소프트볼협회 |
국내 A 구단 스카우트 팀장은 "메이저리그가 장현석에게 벌써부터 뜨거운 관심을 갖고 있다는 보고가 계속 올라오고 있다. 빅 마켓 구단들이 움직인다는 소문도 있다. 몸 값이 많이 올라갈 것으로 보인다. 한화가 신경이 많이 쓰일 것 같다"고 말했다.
장현석이 국내에 남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는 뜻이다. 장현석도 최근 언론 인터뷰서 아직 메이저리그행 가능성을 닫지 않고 있음을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실망은 이르다. 장현석에 미치지는 못하지만 크게 떨어지지 않는 유망주들도 대기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음 후보로 가장 많이 거론되는 선수는 천안 북일고 김휘건이다. 190cm가 넘는 큰 신장에서 꽂히듯 뿌리는 패스트볼이 장점인 선수다.
장현석이 등장하기 전까진 김휘건이 가장 빼어난 투수로 꼽혔었다. 자연스럽게 1순위 지명이 될 선수로 여겨졌었다.
구속은 150km를 넘지 못한다. 최고 구속이 140km대 후반을 찍고 있다. 하지만 장신에서 찍어 누르듯 던지는 패스트볼의 묵직함은 또래 들을 한참 앞서 있다는 것이 공통적인 평가다.
김휘건은 올 시즌 고교 야구서 15경기에 출장해 2승2패, 평균 자책점 1.50의 빼어난 성적을 남겼다.
총 35.2이닝을 던져 삼진을 무려 50개나 잡아 냈다. 볼넷도 20개로 많았지만 공의 위력 하나만은 첫 손 꼽힐만 했다. 피홈런이 단 1개도 기록되지 않았을 정도로 힘 있는 공을 던졌다.
WHIP가 0.97에 불과했다. 볼넷이 많았음에도 피안타를 거의 맞지 않았기 때문에 WHIP를 낮출 수 있었다.
스카우트 B는 "장현석이 아니었으면 일찌감치 랭킹 1위라 불렸을 투수다. 물론 단점도 있다. 좋을 때와 안 좋을 때의 차이가 크다. 제구가 흔들릴 땐 많이 위험스러워 보이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공의 구위가 워낙 좋기 때문에 고교 무대에선 큰 무리 없이 통하는 투수라고 할 수 있다. 프로에 오면 구속도 더 빨라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기복이 심하다는 단점만 잘 보완 한다면 즉시 전력으로 쓸 수도 있는 선수
장현석이 나타나기 전 1순위 선수는 단연 김휘건이었다. 장현석이 광속구를 앞세워 성큼 앞서 나갔지만 흔들리지 않고 자신의 공을 준비하고 있는 김휘건이다.
한화팬과 하위권 팀들 팬이라면 확실히 이름을 외워 두고 동정을 꼼꼼하게 살펴 볼 필요가 있는 선수다.
[정철우 MK스포츠 전문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