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억 팔' 장재영(20.키움)이 좀처럼 활로를 찾지 못하고 있다.
제구도 잡고 구속도 살리기 위한 방법을 찾고 있는데 성과가 그리 좋지 못하다.
제구와 구속 사이 어딘가에서 길을 잃은 것은 아닌지 걱정스러운 상황이다.
![]() |
↑ 장재영이 좀처럼 위력을 되찾지 못하고 있다. 구속과 제구 사이 어딘가에서 길을 잃은 듯 보인다. 사진=김영구 기자 |
장재영은 150km대 후반이던 구속이 150km대 초반으로 낮아졌지만 변화구로 제구를 잡는 길을 택했다고 했었다. 스트라이크를 변화구로 잡는 노력을 하며 자연스럽게 패스트볼 구속이 감소했다. 처음엔 그 방법이 통하는 듯 보였다. 성과가 나는 듯 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오래지 않아 근본적인 대책이 될 수 없음을 깨닫게 됐다.
장재영은 올 시즌 1군 무대에서 14경기에 등판해 승.패 없이 평균 자책점 7.71을 기록하며 무너졌다.
14이닝을 던지는 동안 볼넷은 7개로 그전 보다는 줄였다. 하지만 안타를 23개나 맞으며 흔들렸다. 피안타율이 0.371이나 됐고 WHIP는 2.14로 대단히 높았다.
그러나 2군에서도 장재영은 자신 있게 공을 뿌리지 못하고 있다. 조금 나아지는 가 싶다 가도 다시 제 자리로 돌아오는 일이 반복 되고 있다.
6월22일 KIA전서는 5이닝 동안 4피안타 1볼넷 7탈삼진 무실점으로 호투하며 한껏 희망을 끌어 올렸다. 선발로 통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본 경기였다.
그러나 다음 경기서 바로 무너졌다.
1일 LG전에 등판해 2이닝 동안 5피안타 3볼넷 1탈삼진 4실점한 뒤 마운드를 내려와야 했다. 이날 피안타율이 0.500이나 됐다. 다시 원점으로 돌아간 셈이다.
최근 2군 경기장을 돌아보고 온 전력분석원 A는 "장재영이 피안타가 눈에 띄게 늘어 났다. 구위로 타자를 압도하지 못한다는 것을 뜻한다. 변화구 비율을 높이며 구속이 감소한 것이 공의 위력을 떨어트린 것은 아닌지 걱정스러웠다. 잘 맞아 나가는 타구가 너무 많았다. 다시 구속과 제구를 모두 잡는 쪽으로 궤도를 수정했다고 들었다. KBO리그 타자들은 강속구에 강하다. 그러나 한계를 뛰어 넘는 광속구에는 약점을 보이고 있다. 장재영은 그 한계를 뛰어 넘는 스피드를 찍을 수 있는 투수다. 물론 지금도 빠른 공을 던지는 축에 속하지만 다른 시도를 하다 구속이 낮아진다면 좋지 않은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본다. 구속을 포기하지 않는다는 방침을 세웠다고 들었는데 그 길이 맞다고 본다. 뭔가 한 가지 확 튀어나오는 것이 있어야 하는데 그런 걸 찾을 수 없었다. 구속도 제구도 모두 특출나지 않은 선수가 되고 있는 느낌"이라고 말했다.
장재영은 지금 구속도 특별하지 않고 구위는 구위대로 떨어지고 있다는 평가를
키움의 '장재영 만들기'는 성공을 거두고 있는 것일까. 아직까지 나타난 결과로는 그리 좋은 결실을 맺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팀과 개인 모두에게 안타까운 시간만 흘러가고 있다.
[정철우 MK스포츠 전문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