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 도착 기자들, 공항 이동 불가…'페쇄 루프' 속에서 진행되는 대회
![]() |
↑ 베이징동계올림픽 한국 피겨 대표팀이 3일 오전 인천공항에서 출국 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오서 코치, 차준환, 이시형 / 사진=연합뉴스 |
도쿄 올림픽은 물론 주요 국제 대회에서 빠지지 않고 나왔던 현지 입국 소감 기사를 이번 베이징 동계 올림픽에서는 좀처럼 찾아보기 힘들어졌습니다.
인천공항에서 출국 전 인터뷰는 지난해 도쿄 올림픽과 다름없이 진행되고 있지만 베이징 도착 소감을 말하는 기사는 사라졌습니다.
3일 인천에서 출국한 스피드와 피겨 스케이팅, 스노보드 등 국가대표 선수들 역시 베이징 공항 도착 인터뷰는 예정에 없습니다.
베이징에 미리 도착해있던 기자들이 공항으로 이동할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세계적인 유행 속에 열리는 이번 대회는 '폐쇄 루프' 속에서 진행됩니다.
대회에 참가하는 모든 사람들을 외부와 분리해 접촉을 최소화하겠다는 방침 때문입니다.
이 때문에 기자들은 숙소와 미디어 센터, 경기장, 훈련장, 옌칭이나 장자커우로 이동하는 기차역 등 정해진 행선지로만 이동 가능합니다.
정해진 장소에 도착하면 해당 구역 범위를 도보로도 벗어날 수 없기 때문에 몰래 택시를 타거나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행위 또한 엄격하게 금지되며, 적발 시 추방 등의 강력한 제재가 가해집니다.
중국 기자들 역시 베이징 집에서의 출퇴근이 금지되고, 지정 숙소에 머물며 '폐쇄 루프' 내에 대회가 끝날 때까지 머물러야 합니다.
이는 지난해 도쿄 올림픽과는 다른 양상을 보입니다. 지난해 도쿄 올림픽 또한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아래 진행되었지만, 이번 베이징보다 '폐쇄 루프' 강도가 약해 올림픽 취재를 위해 도쿄에 온 기자들이 공항으로도 비교적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었고 이에 우리나라 대표 선수들이 "어, 아까 인천에서 다 했는데요?"와 같
이번 대회는 '폐쇄 루프' 밖에 있는 기존 베이징 특파원들이 공항 취재를 할 수도 없습니다.
베이징 서우두 국제공항에 내린 선수 등 올림픽 관계자들은 기존 입국장이 아닌 별도의 출구를 통해 공항 안에 대기하는 버스를 타고 곧바로 숙소로 이동하기 때문에 입국장에서의 만남도 제한됩니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