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8회차(12월 29일∼30일)를 끝으로 경정 2021시즌이 마감됐다. 기승을 부리고 있는 코로나19로 인해 2021년은 1회차부터 3회차, 11회차부터 17회차를 휴장했고 경주 수 또한 1일 8경주에서 12경주, 15경주로 순차적으로 늘어나는 등 정상적으로 경주를 운영하지 못했다.
하지만 어려운 상황에서도 승급과 강급, 주선보류가 결정되는 후반기 등급조정은 진행됐고 그 중에서도 팬들의 최대 관심은 최다 우승자와 상금왕은 누구냐에 모였다.
다승 부문에서는 2019년과 2020년 다승왕을 기록했던 심상철(7기)이 한 번 더 최다 우승자의 왕좌에 오를 것인지에 대한 기대감이 컸다.
![]() |
↑ 사진=국민체육진흥공단 경주사업총괄본부 |
결국 다승왕은 출발위반을 범한 심상철의 빈자리를 빠르게 채운 조성인(12기)이 차지했다. 조성인은 총 23회 우승과 준우승 10회(승률 56% 연대율 81%)로 신흥 강자의 위용을 유감없이 발휘했다. 항상 좋은 조건만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기복을 보일 법도 하지만 고감도 스타트와 코스, 모터를 가리지 않고 선두권에 올라서 팬들의 두터운 신뢰를 얻었다.
한편 조성인은 흔들림 없는 고공행진으로 인해 2021년 쿠리하라배와 그랑프리에서의 기대감이 컸으나 두 차례의 타이틀이 걸린 대회 모두 우승 사냥에 실패하며 준우승에 그쳤다. 하지만 2021년 대상경주에서의 결과가 앞으로의 경주 레이스에 큰 밑거름이 되어 2022시즌에는 보다 발전된 모습으로 고객들에게 다가가 신뢰의 목소리는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다승 부분 2위에는 조성인보다 3승이 부족한 20승의 김종민, 3위는 18승을 거둔 김완석이 차지했다.
상금왕은 그랑프리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상금 액수를 끌어올린 김종민(2기)이 차지했다. 김종민이 획득한 총상금은 8800만 원이다.
김종민의 상금은 2018년 심상철(1억4000만 원, 84회 출전), 2019년 이태희(1억3000만 원, 84회 출전)의 상금왕 수득금에는 미치지 못했으나 코로나 휴장 등으로 인한 김종민의 출전 횟수 축소(40회) 상황을 고려하면 절대 뒤처지지 않는 결과다. 2022시즌은 작년부터 시작된 온라인 발매로 경주가 지속 가능해져 선수들의 출전 횟수와 상금 모두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돌아갈 것으로 예상된다.
상금 부분 2위는 7800만 원의 조성인, 3위는 5200만 원의 배혜민이 차지했다.
임병준 쾌속정 예상분석전문가는 “프로의 세계에서는 최고의 성적을 내는 다승왕과 상금왕이 으
[박찬형 MK스포츠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