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경닷컴 MK스포츠 박찬형 기자
문화체육관광부가 30일 전국 17개 시도 만 10세 이상 국민 9000명을 대상으로 한 ‘2020년 국민생활체육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국민생활체육조사’는 국민의 생활체육활동 참여 실태를 파악하고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삼기 위해 매년 실시되고 있다.
생활체육 참여율, 최근 5년간 증가 추세를 보였으나 올해 들어 감소
2020년 생활체육 참여율*은 60.1%로 2019년 66.6% 대비 6.5%p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 생활체육 참여율이 전년 대비 0.3%p 감소한 것을 제외하면 최근 5년 동안 생활체육 참여율은 매해 전년 대비 3%p 이상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왔으나, 올해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체육시설 이용 등이 제한되며 생활체육 참여율이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대부분의 집단에서 생활체육 참여율이 하락했으며, 특히 ▲남성(전년 대비 8.2%p 감소) ▲30대(전년 대비 11.7%p 감소) ▲월 300~350만 원 집단(전년 대비 16.7%p 감소) ▲읍면 이하 지역(전년 대비 11%p 감소)에서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코로나19 영향으로 규칙적 체육활동 참여자의 운동량도 감소
또한, 규칙적 체육활동 참여자를 대상으로 운동량 변화 여부를 설문한 결과, 운동량이 감소했다는 응답이 전년 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운동량이 감소했다는 응답자가 4.1%였으나, 2020년은 19%로 전년 대비 15.1%p 증가했다. 반면, 운동량이 증가했다는 응답은 2019년 17.3%에서 2020년 7.1%로 10.2%p 감소했다.
운동량 감소 이유는(1‧2‧3순위 합계 기준) ‘체육활동 가능시간 부족(56.9%)’, ‘체육시설 접근성 미흡(36.1%)’, ‘코로나19 영향(36.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코로나19’를 운동량 감소 원인의 1순위로 든 응답자가 30.6%이며, ‘코로나19’는 설문상 별도로 제시된 보기 항목이 아니라 ‘기타’ 의견으로 제출된 응답임을 볼 때, 코로나19가 체육활동 위축에 큰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코로나19의 영향은 종목별 참여율에서도 나타났다. 규칙적 체육활동 참여자가 주로 참여하는 종목(1‧2‧3순위 합계 기준)은 전년도와 동일하게 1위 ‘걷기(41.9%)’, 2위 ‘등산(17.6%)’, 3위 ‘보디빌딩(13.3%)’ 순이었으나, 전반적으로 실내종목 참여율은 감소한 반면 실외종목 참여율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실내종목의 전년 대비 참여율 감소폭은 ▲ 보디빌딩 2.9%p, ▲ 요가·필라테스·태보 1.1%p, ▲수영 2.8%p이다. 실외종목의 전년 대비 참여율 증가폭은 ▲ 걷기, 등산, 축구·풋살이 각각 0.3%p, ▲ 자전거·사이클은 0.6%p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주 이용하는 체육시설은 1위 ‘민간 체육시설(23%)’, 2위 ‘기타 체육시설(20.6%)’, 3위 ‘공공 체육시설(19%)’ 순으로, 전년과 비교하면 ‘기타 체육시설’과 ‘공공 체육시설’의 순위가 뒤바뀐 것으로 나타났다. ‘민간 체육시설’과 ‘공공 체육시설’의 이용률은 각각 전년 대비 1.5%p, 2.6%p 감소한 반면, ‘기타 체육시설*’과 ‘자가시설**’ 이용률은 각각 전년 대비 6.2%p, 0.5%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코로나19로 인한 시설 운영 제한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된다.
* 세부적으로 공공주택단지 체육시설(89.4%), 복지시설(13.5%), 청소년 체육시설(7.5%) 순
** 가정 내 체육시설 및 도구 이용, 맨몸운동을 하는 경우
최근 1년간 체육활동에 전혀 참여하지 않은 응답자를 대상으로 ‘체육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설문한 결과, 1위는 ‘체육활동 가능 시간 부족(50%)’, 2위는 ‘체육활동에 대한 관심 부족(11.7%)’, 3위는 ‘체육시설 접근성 낮음(4.5%)’으로 나타났다. ‘체육활동 가능 시간 부족’은 최근 5년간 체육활동 비참여 이유 1위로 나타나, 체육활동 비참여자의 체육활동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체육활동 시간을 내기 어려운 국민들이 학교와 직장 등 일상 속에서 체육활동을 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문체부는 내년에도 코로나19로 인한 체육활동 여건이 좋지 못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국민의 생활체육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한 맞춤형 지원을 지속 확대해나갈 예정이다. 온라인 운동콘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