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관은 패스트볼 평균 구속이 130km를 넘기지 못하는 투수다. 그런 그가 8년 연속 10승이라는 대기록을 세울 수 있었던 것은 칼날 같은 제구력이 있었기 때문이다.
원하는 대로 제구가 가능했기 때문에 느린 구속으로도 버틸 수 있었다.
그러나 올 시즌엔 대단히 고전했다. 두 차례나 엔트리서 제외되는 등 수모를 겪었다. 천신만고 끝에 10승을 채우기는 했지만 벤치의 믿음은 크게 떨어진 상황이었다.
![]() |
↑ 유희관은 2020년 KBO리그에서 27경기(136⅓이닝)에 등판해 10승 11패 평균자책점 5.02 56탈삼진을 기록했다. 두산의 포스트시즌 12경기 중에 딱 한 번만 출전했다. 사진=MK스포츠 DB |
평균자책점 5.02는 그가 10승 이상을 거둔 2013년 이후 최악의 성적이다.
결국 한국시리즈서는 공을 던질 수 있는 날 임에도 미출장 선수 명단에 이름을 올리기까지 했다. 팀에서 활용도가 완전히 떨어졌음을 뜻하는 결정이었다.
유희관의 제구력을 표현하는 방법 중 하나가 바로 ‘희관존’이다. 살짝 스트라이크존을 벗어나는 공을 던져 주심의 눈을 속이고 이 공으로 스트라이크 판정을 받는 것이 유희관의 성적을 높여준다는 가설이다.
유희관의 장기는 체인지업이다. 우타자의 바깥쪽을 체인지업으로 공략한 뒤 몸쪽 살짝 빠지는 스트라이크존으로 공을 던져 삼진을 유도하는 것이 주요 패턴으로 꼽혔다.
그렇다면 올 시즌 유희관의 부진은 바로 이 ‘희관존’이 흔들렸기 때문으로도 해석할 수도 있다. 희관존이 살아나지 않으며 유희관이 부진을 겪었다는 가정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실제 유희관은 올 시즌엔 희관 존에 주심의 손이 올라가지 않으며 손해를 보게 된 것일까.
결론부터 말하면 사실과 다르다.
↑ 자료=스포츠 데이터 에볼루션 |
유희관은 경기 내용이 좋지 못했을 때 오히려 삼진 비율이 높아지는 투구를 했다. 스트라이크 존으로 공을 집어넣는 비율은 떨어졌지만 삼진 비율은 오히려 높았다.
↑ 자료=스포츠 데이터 에볼루션 |
워낙 삼진 잡는 비율이 떨어지는 투수지만 어찌 됐건 평균자책점 7점대 이상 경기서 삼진/볼넷 비율이 0.9에서 1.6으로 높아졌다.
7점대 이상 평균자책점을 기록한 경기서 스트라이크 존 안으로 넣은 공의 비율은 38.7%에서 40.5%로 높아졌다. 스트라이크 존에서 1개 정도 빠진 공의 비율은 16.4%에서 12.7%로 낮아졌다.
↑ 자료=스포츠 데이터 에볼루션 |
유희관이 자신의 희관 존을 활용했다면 공이 하나 빠진 공을 던졌을 때 스트라이크 판정을 받는 비율이 높았어야 한다.
실제는 달랐다. 유희관이 2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한 경기서 공 1개 빠진 존의 공이 스트라이크 판정을 받는 비율은 25.9%였다. 하지만 7점대 이상 평균자책점을 기록한 경기서는 26.5%로 소폭 상승했을 뿐이다. 공 1개 차로 희비가 엇갈리는 비율이 눈에 띌 정도가 아니라는 것을 뜻한다.
일반적인 이미지대로라면 공 1개가 빠진 공에 대한 스트라이크 콜이 특별히 높아야 한다. 하지만 유희관은 이미지와 달리 제구로 크게 도움을 받지 못했다. 일명 희관 존은 몇 차례 인상적인 기억이 일반화됐을 가능성이 높다. 수치가 이를 증명한다.
스포츠 데이터 에볼루션은 “유희관은 스트라이크존 보더라인에 걸치는 제구를 통해 심판의 스트라이크콜을 받아내는 역량이 탁월한 이른바 ‘희관존’을 잘 활용하는 투수다. 하지만 호투한 경기와 부진한 경기 모두 공 1개 빠진 코스의 판정 스트라이크 비율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희관존'이 호투의 요인이 된다는 근거는 찾을 수 없었다. 구속과 구위 문제 역시 호투와 부진의 이유가 되기에는 신빙성이 떨어진다. 유희관의 평균구속은 129km로 호투를 펼친 7경기와 부진했던 8경기의 패스트볼 평균구속 차이는 1km가 채 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결론적으로 유희관의 올 시즌 부진은 전체적인 제구력 난조가 가져온 결과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스트라이크 존으로 몰리는 공이 많아지며 구위가 좋지 못한 유희관이 난타를 허용했다는 가정이 가능하다.
↑ 자료=스포츠 데이터 에볼루션 |
7점대 이상 평균자책점을 기록한 경기서 뚜렷하게 가운데로 몰리는 공이 많았음을 알 수 있다. 강한 타구를 허용하는 비율도 몰린 공의 비율이 크게 높아졌다. 유희관의 ’희관존‘이 가동되지 않아서가 아니라 몰린 공이 많아진 것이 부진의 원인이었음을 알 수 있다.
↑ 자료=스포츠 데이터 에볼루션 |
유희관도 다른 투수들과 마찬가지로 라인드라이브 타구를 허용했을 때 안타가 되는 비율이 매우 높았다. 특히 7점대 이상 평균자책점을 기록한 경기서 라인드라이브 비율이 2점대에 비해 8%나 높았다.
유희관의 부진 원인은 생각보다 단순했다. 제구력을 바탕으로 한 투수라는 이미지와는 달리 올 시즌 제구가 크게 흔들리며 안 좋은 결과를 많이 만들어냈다고 할 수 있다.
두산 코칭스태프도 이런 약점이 보였기 때문에 포스트시즌서 유희관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했음을 알 수 있다. 그에게 정말 ’희관존‘이 존재하고 있었다면 다른 결론과 선택도 가능했을 것이다.
유희관은 좋은 평균자책점을 기록했을 때나 나빴을 때나 존 하나 차이 정도 나는 스트라이크 비율이 크게 다르지 않았다. 유희관이 잘 던진 경기와 ’희관존‘은 큰 상관이 없었음을 뜻한다. 오히려 안 좋을 때 삼진을 많이 잡으며 스트라이크 존 안으로 더 많은 공을 던지려 했던 것이 안 좋은 결과로 이어졌다고 할 수 있다.
유희관이 부활하기 위해선 운이 아닌 실력이 따라줘야 한다. 스트라이크 존에 우겨넣는 내용의 투구로는 올 시즌 이상의 결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볼의 로케이션에 따른 결과가 이를 증명한다. ’희관존‘은 실
그렇다면 유희관은 실력으로 정면 돌파를 하는 수밖에 없다. 장점인 제구력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스스로 결론을 내리고 그 결론에 따라 업그레이드가 돼야 한다. 모든 것은 유희관이 하기에 달렸다.
정철우 MK스포츠 전문위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