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야구 KBO리그 한화 이글스가 사이드암 투수 33살 신정락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 과정에서 보고 지침을 어긴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어제(1일) 한화 관계자 설명과 대전시 등 당국 발표 자료를 종합하면, 신정락은 지난달 29일부터 고열·근육통·두통 증세를 보였고 다음 날 이를 구단에 보고했습니다.
신정락은 그제(31일) 오전 코로나19 검사를 받았는데, 이때까지 한화 구단은 한국야구위원회(KBO)에 관련 보고를 하지 않았습니다.
한화 구단은 신정락이 양성 판정을 받은 오후 9시가 넘어 KBO 실무 직원에게 관련 내용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화 구단의 보고 의무 미준수로 인해 KBO는 발 빠른 대응을 하지 못했습니다.
신정락과 접촉한 선수 두 명이 있는 LG 트윈스 구단도 마찬가지였습니다.
LG 구단은 언론 보도를 통해 신정락의 확진 사실을 알았고, 어제(1일) 오전 뒤늦게 해당 선수들을 격리 조처했습니다.
천만다행으로 해당 선수들은 음성 판정을 받았지만, 최악의 경우 LG 선수단 전체에 코로나19가 퍼질 수도 있었습니다.
KBO는 개막 전 '코로나19 대응 통합 매뉴얼'을 통해 유증상자가 발생할 시 각 구단은 즉시 KBO에 보고하도록 명시했습니다.
각 구단이 발 빠르게 코로나19 확산에 대응하기 위한 조처였습니다.
그러나 이 체계는 한화 구단의 안일한 판단으로 무너졌습니다.
KBO리그 코로나 확산 문제는 신정락에서 끝나지 않았습니다.
어제(1일) 오후 한화 육성군 선수가 추가 양성 판정을 받았습니다. 집단 감염 위기 상황이 벌어졌습니다.
코로나19에 관한 안일한 대처는 비단 한화 구단의 문제만은 아닙니다.
KBO리그 곳곳에선 매뉴얼에서 금지하고 있는 행동을 자연스럽게 행하고 있습니다.
매뉴얼에 따르면, 원정에 나선 선수단의 타인 접촉은 금지 사항이지만 양 팀 선수들이 접촉하는 모습은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신정락도 25일부터 26일까지 충청남도 서산구장에서 열린 퓨처스리그 한화-LG전에서 친정팀 LG 선수들과 만나 대화했습니다.
재활군 소속인 신정락의 LG 선수단 접근에 관해 아무도 제지하지 못했습니다. 1군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매뉴얼에서 금지하고 있는 '경기 중 침 뱉는 행위'는 심심치 않게 볼 수 있고, 선수들의 외부 활동도 막지 못하고 있습니다.
두산 베어스 1군 선수 2명은 7월 중순 원정 경
일각에선 이번 사안을 본보기 삼아 코로나19 대응 지침 준수 의무를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한화 관계자는 "KBO 보고 과정에서 미흡한 점이 있었던 건 사실"이라며 "앞으로 코로나19 확산 방지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