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서정원 전 감독이 수원 삼성 시절 가시마 앤틀러스와의 2018 아시아축구연맹 챔피언스리그 2차전 홈경기를 벤치에서 지켜보는 모습. 사진=MK스포츠 제공 |
서정원(48) 전 수원 삼성 감독 측이 생애 첫 일본프로축구 진출설 보도를 부정했다.
일본 일간지 ‘스포츠 닛폰’은 11월 30일 “서정원 전 감독이 2019시즌 가장 유력한 J1리그 사간 도스 사령탑 후보”라고 전한 바 있다.
7일 MK스포츠와 만난 서정원 전 감독 측 관계자는 “일본 모 구단 감독으로 부임한다는 기사는 사실무근”이라고 반박했다.
서정원은 선수와 코치 그리고 감독으로 모두 일본팀에 속한 바 없다. ‘스포츠 닛폰’은 “서정원은 (대륙클럽대항전 준비를 위해) 2018 J1리그 경기를 직접 보기도 했다”라면서 “아시아축구연맹(AFC) 챔피언스리그를 통해 일본 팀과 대결한 경험도 많아 사간 도스 지휘봉을 잡는 것에도 긍정적”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이러한 일본 언론의 보도에 대해 서정원 전 감독 측은 “특정 클럽을 굳이 언급하지 않더라도 2019시즌 팀을 맡아달라는 제안은 여럿 있다”라면서도 “몸과 마음이 너무 지쳐있다. 아마 당분간은 휴식을 취할 것 같다”라고 전망했다.
마음만 먹으면 서정원 전 감독의 일본축구팀을 맡는 것은 어렵지 않다. 서 감독을 담당하는 에이전시의 관리대상에 일본프로야구 전 스타플레이어가 2명이나 있기도 하다.
서정원 전 감독 대리인이 일본 프로스포츠에 해박한만큼 구단들의 제의는 끊이지 않을 것이다. 재충전을 마친 후 서 전 감독이 어떤 선택을 내릴지 귀추가 주목된다.
현역 시절 서정원 전 감독은 1999·2001·2002 K리그1 베스트11에 뽑혔다. 프랑스 리그1 16경기 4골 및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67경기 11골 4어시스트 등 유럽 경험도 있다.
국가대표로는 A매치 88경기 16골. 1994·1998 국제축구연맹(FIFA) 월드컵과 1996 AFC 아시안컵, 1990·1994 아시안게임 본선에 출전했다.
2005 오스트리아리그 MVP 선정 당시
서정원 감독은 2010 광저우아시안게임 남자축구대표팀 및 2012년 수원 삼성 수석코치를 역임한 데 이어 2013~2018년 수원 제4대 사령탑을 맡았다.
수원 삼성 지휘봉을 잡고 서정원 감독은 2014·2015 K리그1 준우승 및 2016 FA컵 우승 등의 업적을 남겼다. 온라인이슈팀 mkculture@mkcultur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