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경닷컴 MK스포츠 안준철 기자] 농구계의 남북교류에 대한 기대는 컸다.
제4회 한국농구발전포럼이 8일 오후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개최됐다. 농구의 남북교류와 남자 프로농구의 외국인 선수 규정에 대한 열띤 토론이 진행됐다.
특히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에서 단일팀으로 은메달을 딴 여자농구 쪽에서 남북교류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냈다. 북측 팀이 리그에 참가하거나 북측 선수가 국내 팀에서 뛰는 것이 여자 프로농구 발전에 도움이 된다는 것. 아산 우리은행 위비의 전주원 코치는 "북측 선수들의 개인기가 출중하다. 아시안게임에서 연습시간이 굉장히 짧았음에도 그런 성적을 냈다는 것은 북측 선수들의 농구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는 방증이다"라며 북측 선수들의 기량을 높게 평가했다.
![]() |
↑ 사진=스포츠조선 제공 |
남북교류가 활성화되는 지금이 발전시킬 수 있는 좋은 기회임을 모두가 인식하지만 넘어야 할 산이 많다. 문화체육관광부 이해돈 국제체육과장은 "북측 선수를 국내 프로농구에서 뛰게 하려면 이들을 외국으로 볼지, 내국인으로 볼지, 제3의 기준이 있는지를 봐야한다"면서 "현행법에서 남북교류협력법, 출입국법, 여권법 등 풀어야할 문제가 많다. 소득에 대해서 소득세법이 적용되는 것도 있다"고 했다. 성문정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수석연구원은 "대북제재 문제도 풀어야 한다. 우리나라 법으로 푼다고 해도 국제 기구의 해결이 전제돼야 한다"라고 말했다. 특히 정부차원이 아닌 농구계, 체육계가 주축이 된 교류가 돼야 지속적인 발전이 가능할 것이라고 했다.
남자농구의 외국인 선수 규정에 대해선 한목소리로 규제를 풀어야한다고 했다. 김승현 MBC스포츠플러스 해설위원은 "선수때부터 여러 외국인 선수 규정을 경험했는데 그때부터 가졌던 생각은 신장제한을 없애는 것"이었다며 "각 팀마다 제약없이 필요한 구성원을 데려올 수 있도록 해야한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의 이도현 사무국장은 "자유계약으로 뽑은 외국인 선수를 1명만 보유하고 보수 등의 제약은 모두 풀어야 한다. 그리고 3쿼터를 뛰게 하고 1쿼터 정도는 국내 선수들로만 뛰게 하면 좋겠다"라고 제안했고, 안양 KGC 인삼공사의 김성기 국장도 "1명 보유에 자유계약, 다른 규제를 없애야 한다"라고 말했다. 김경호 전 체육기자연맹 회장도 "예전 2011-12시즌에 자유계약에 1명만 뛰게한 적이 있는데 그때가 관중이 133만명으로 가장 많았다"면서 "처음부터 외국인 선수를 1명만 뛰게 했다면 이렇게 많은 규정 변경이 없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이날 포럼에는 이정대 KBL 총재와 김동광 경기본부장, 최준수 사무총장, 이준우 사무차장
jcan1231@maekyung.com[ⓒ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