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경닷컴 MK스포츠 이상철 기자] 승점 3점은 기본, 다득점까지 필요하다.
슈틸리케호의 러시아로 가는 길이 가시밭으로 변했다. 28일 시리아전은 한국의 월드컵 9회 연속 본선 진출의 운명을 쥘 한판이 됐다.
한국은 지난 23일 중국과 2018 러시아월드컵 아시아지역 최종예선 6차전에서 0-1로 졌다. 승점 10점(3승 1무 2패). 그나마 A조 2위 자리는 지켰다.
2위까지 본선 직행이다. 하지만 불안한 2위다. 우즈베키스탄(승점 9점), 시리아(승점 8점)와 간극이 크지 않다. 혼전 양상으로 전개되면서 중국(승점 5점), 카타르(승점 4점)도 기적의 드라마를 꿈꾸고 있다. 멀찍이 앞서가는 선두 이란(승점 14점)만 여유가 있다.
![]() |
↑ 한국은 2018 러시아월드컵 아시아지역 최종예선 A조에서 최다 득점 및 최다 실점 1위를 기록하고 있다. 골 득실차가 +1이다. 사진=MK스포츠 DB |
순위 경쟁은 더욱 박이 터질 것이다. 승점 1점, 1골 등에 의해 희비가 엇갈릴 수 있다. 한국은 4년 전에도 살 떨리는 경험을 했다. 우즈베키스탄과 승점이 같으나 골 득실차에서 1골 앞서며 가까스로 본선 직행 티켓을 획득했다.
플레이오프로 밀린 우즈베키스탄은 요르단에 승부차기 패하며 첫 본선 진출의 꿈을 접어야 했다. 1,2골에 의해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의 운명이 뒤바뀔 수 있었다.
이번에도 비슷한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 때문에 다득점이 필요한 한국이다. 6경기에서 8골을 넣었다. A조 6개국 중 최다 득점 1위다. 하지만 7실점으로 카타르와 함께 최다 실점 1위이기도 하다.
한국은 골 득실차가 +1이다. 우즈베키스탄(+1), 시리아(0)와 비교해 큰 차이가 없다. 물고 물리는 접전이 벌어질 경우, 골 득실차는 한국의 운명을 좌우한다.
현실적으로 시리아전 외 다득점 확률이 크지 않다. 한국은 카타르(원정), 이란(홈), 우즈베키스탄(원정)을 상대한다. 홈 이점에도 이란은 껄끄럽다. 최근 이란전 4경기 연속 무득점 패배다. 게다가 이란은 이번 최종예선에서 540분 연속 무실점으로 철벽 수비를 자랑하고 있다.
홈에서 카타르와 우즈베키스탄을 이겼지만 모두 1골차의 신승이었다. 자칫 패할 수도 있었다. 원정에서 승리를 장담하기 어렵다. 더욱이 한국은
시리아전 승리가 아니라 대승에 초점이 모아진다. 최대한 많은 골을 넣어 큰 점수차로 이겨야 한다. 다음 3경기에 대한 부담이 덜면서 또 한 번의 극적인 운명 뒤바꾸기의 발판이 될 수 있다.
[rok1954@maekyung.com][ⓒ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