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경닷컴 MK스포츠(고척) 이상철 기자] ‘나비효과’일까. 때론 작은 실수가 돌이켜보면, 아주 큰 영향을 끼친다. 거대한 후폭풍을. 또한, 이기고자 하는 마음이 더 강한 쪽이 웃기 마련이다. 투지와 집중력 싸움이다.
넥센과 KIA의 첫 고척돔 시리즈가 그랬다. 넥센이 지난 6일 만루홈런 2방으로 KIA를 K.O.시켰을 때도 KIA 내야진의 애매한 타구 처리 미스가 화근이 됐다. 양현종이 완투패를 한 지난 7일에도 KIA는 기록된 실책 2개와 기록되지 않은 실책 1개, 그리고 폭투에 고개를 숙였다.
주자가 한 베이스를 더 가거나 타자가 1루를 밟는 정도였으나 뒤따르는 강펀치가 셌다. 그리고 1점이라고 단순히 데미지가 1은 아니었다. 이는 어버이날에 벌어진 시리즈 마지막 경기에도 마찬가지였다.
첫 홈 등판에 설렜던 양훈은 제 역할을 다했다. 6이닝 동안 2실점을 했다. 그런데 모두 비자책. 최근 3경기 연속 평균자책점 ‘제로’. 결정적인 미스 플레이가 양훈과 넥센의 실점을 올렸다.
![]() |
↑ 넥센은 8일 고척 KIA전에서 9회 임병욱의 동점 홈런과 박정음의 끝내기 안타로 7-6 역전승을 거뒀다. 사진=김재현 기자 |
이 실책은 팽팽하던 분위기를 묘하게 흘러가게 만들었다. 이성우의 안타까지 터지며 넥센은 0-2로 끌려갔다. 양훈과 넥센 모두 기분 나쁜 실점 ‘과정’이었다.
하지만 섬세함이 부족한 건 넥센만이 아니었다. KIA는 승기를 잡을 결정적인 찬스를 놓쳤다. 5회초 2루수 서건창의 실책으로 얻은 1사 2루서 김주찬의 큰 타구가 중앙 펜스 상단을 맞췄다. 2루타였다.
그러나 뜬공으로 판단한 이성우는 뒤늦게 뛴 데다 홈에서 아웃됐다. 임병욱-김하성-박동원의 넥센 연계 플레이가 좋았지만, 이성우의 베이스러닝 미스이기도 했다. 발이 아닌 손을 택한 슬라이딩도 달아나야 하는 KIA의 속만 태웠다.
결국 부메랑이 됐다. 집중력 싸움에서 먼저 흐트러진 건 KIA였다. 전날 실책 2개로 주도권을 잡지 못했던 KIA는 이날도 내야 수비가 흔들렸다.
헥터는 임병욱에 안타를 맞았으나 서건창, 고종욱을 잇달아 내야 땅볼로 유도했다. 평범했다. 고종욱의 타구는 2루수-유격수-1루수로 이어지는 ‘더블 플레이’가 가능했다. 하지만 2루수 서동욱이 한 차례 놓치면서 아웃카운트 1개만 잡았다.
이닝을 못 끝낸 KIA였다. 넥센의 공격은 계속됐다. 대니 돈의 1타점 적시타는 그런대로 괜찮았다. KIA가 리드를 유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김민성의 타구를 유격수 김주형이 처리하지 못한 건 엄청난 후폭풍을 일으켰다. 2-2 동점. 그리고 기가 살아난 넥센은 채태인의 2타점 3루타로 승부를 뒤집더니 8회 임병욱의 마수걸이 홈런까지 터지며 5-2로 달아났다.
그런데 승부는 끝나지 않았다. 앞서고 있지만 이긴 게 아니었다. 넥센은 2번의 공격을 더 막아야 했다. ‘이겼다’라고 너무 일찍 도취한 것일까.
넥센의 뒷문이 살짝 열렸다. 지난 4월 24일 고척 LG전 같이 틈이 있었다. 사구, 또 사구. 틈은 점점 벌어졌다. 1실점으로 막는가 싶었으나, 마지막 아웃카운트까지 꽤 오랜 시간이 걸렸다. 홀드 1위 이보근에 이어 세이브 1위 김세현까지 긴급 투입했지만, KIA는 이날 첫 3연타를 날렸다. KIA의 믿기지 않는 6-5 역전.
KIA는 끝까지 포기하지 않았다. 그러나 넥센 또한 포기하지 않았다. 1점 차는 충분히 따라잡을 수 있는 간극이었다. 그리고 임병욱의 개인 첫 연타석 홈런이 터졌다. 최근 평균자책점 제로를 기록하던 홍건희의 실투였다. 129km 포크가 뚝 떨어지지 않았다.
이 한방은 넥센의 마지막 안간힘을 내게 했다. 서건창의 2루타와 고종욱의 고의
[rok1954@maekyung.com][ⓒ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