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현장 (위 사진은 해당 기사와 직접적 연관 없습니다.) /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사건의 시발점(始發點)을 설명하는데 학생이 ‘선생님이 욕했다’고 하더라”
“세로로 서 있는데 왜 ‘가로등’이냐고 묻는다”
“족보를 족발·보쌈 세트로 알고 있다”
“이부자리를 별자리냐고 물어보는 학생도 있다”
“두발자유화 토론하는데 두발이 두 다리인 줄 알았다더라”
교육현장에서 체감하는 교사의 학생 문해력 저하 문제가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는 제578돌 한글날을 맞아 전국 초·중·고 교원 5848명을 대상으로 ‘학생 문해력 실태’를 물은 결과 91.8%는 “문해력이 과거보다 떨어졌다”고 답했습니다.
‘해당 학년 수준 대비 문해력이 부족한 학생이 21% 이상’이라고 답한 교원은 절반에 가까운 48.2%에 달했습니다.
‘글의 맥락과 의미를 잘 이해하지 못하는 학생이 21% 이상’이라고 답한 교원도 46.6%나 됐습니다.
‘도움 없이는 교과서를 이해하지 못하는 학생이 21% 이상’이라는 답변도 30.4%나 차지했습니다.
학생의 문해력 저하 원인에 대해서는 △ 스마트폰·게임 등 디지털매체 과사용(36.5%)이 가장 높은 순위에 들었습니다. 이어 △ 독서 부족(29.2%) △ 어휘력 부족(17.1%) △ 기본 개념 등 지식 습득 교육 부족(13.1%) 등 순입니다.
학생 문해력 개선을 위해 필요한 방안으로는 △ 독서활동 강화(32.4%)를 가장 많이 꼽았습니다. △ 어휘 교육 강화(22.6%) △ 디지털매체 활용 습관 개선(20.2%) △ 토론·글쓰기 등 비판적 사고 및 표현력 교육 강화(11.4%)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교원들은 “개념이 아니라 단어를 가르치면서 진도를 나가야 해 너무 힘들다”며 “시험을 치는데 단어 뜻을 몰라 문제를 못 풀어 난감하다”고 답답함을 토로했습니다.
일부는 학부모의 문해력도 문제라고 지적했습니다. 한 교사는 “학부모님의 문해력도 (학생에) 영향을 많이 미친다”며 “아이들뿐만 아니라 학부모도 가정통신문을 이해 못 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습니다.
한국교총은 “문해력 저하는 학습 능력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대인 관계와 향후
[김지영 디지털뉴스 기자 jzero@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