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년보다 기온 높고 비 더 많이 내릴 듯
6월과 8월 기온 평년보다 높을 확률 50%
지난해 여름철 집중호우로 대규모 산사태·홍수 발생
Q. 평년기온 상승 추세?
평년기온 과거 30년간의 평균으로 10년마다 변경
50년간 6월 평균기온 1.4℃ 7월은 0.9℃ 상승
12개국 기후예측모델 분석 결과 평년기온 웃돌 듯
Q. 올 여름 무더위 예상 원인은?
서태평양·인도양·대서양의 해수면 온도 높게 유지돼
고기압성 순환 강화돼 고온다습한 남풍자주 불어와
해수면 온도 상승으로 습한 수증기 주입 가능성 커져
Q. 난기류 발생 조건은?
강하고 빠른 서풍 계열의 제트기류로 난류 발생
산악 지역 주변에서 난류 발생하기도
낙뢰를 동반한 적란운 주변에서 난류 발생
Q. 국내 난기류 위험 증가?
한반도 상공 '중강도 이상의 청천난류' 발생 빈도 증가
'청천난류 발생 빈도' 동아시아가 미주·유럽보다 2배 잦아
청천난류는 시각적 단서 없어 예보 어려워
Q. 난기류 예보체계는?
미국 해양대기청·영국 기상청에서 난류 예보 제공
대류운 난류는 예측 어려워·관제사 소통으로 파악
청천 난류 발생 가능성 사전에 인지하고 운항
Q. 농기계 안전사고 주의해야?
최근 3년간 농기계 사고 3729건·229명 사망
모내기·파종 잦은 5월 농기계 사고 453건 발생
경운기·트랙터 등 농기계 사용 시 안전사고 주의해야
Q. 농기계 안전사고 원인은?
농기계 작업 중 끼임 사고 가장 많이 발생
경운기 등이 뒤집히거나 넘어지는 사고 잦아
70대 남성 궤도식 운반차에 깔리는 사고 발생
Q. 농기계 안전사고 예방요령은?
옷이 농기계에 말려들거나 감겨 끼이지 않게 해야
농기계 점검 땐 반드시 시동 끄거나 전원 차단 후 실시
농기계 작업 중에는 틈틈이 휴식 취해야
Q. 농기계 교통사고 예방요령은?
농로·경사로 진입 전에는 속도 줄여야
신호 없는 교차로에서는 속도 낮춰 일시 정지
야광 반사판 같은 등화장치를 반드시 부착해야
Q. 고령층 농기계 사고 대책은?
농기계 안전장치 부착과 사전교육 의무화 도입 필요
고령 농민의 인지·반사 능력 파악하는 제도 필요
경운기는 면허증이나 번호판 없이도 운전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