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군 당국은 북한의 도발에 대응해 대북 심리전 수단인 최전방 확성기 방송을 재개할 경우 고정식보다는 이동식 장비를 우선 가동할 것으로 보입니다.
↑ 사진=연합뉴스 |
정부의 한 소식통은 오늘(4일) "지난 정부 때 철거한 고정식 대북 확성기는 재설치해야 가동할 수 있고 인력을 보내 재설치하면 북한군이 바로 식별해 군사적 긴장이 조성될 수 있다"며 "당장 재설치할 계획은 없는 것으로 안다"고 밝혔습니다.
고정식 확성기는 전원 연결과 설치를 위한 작업에 수 시간에서 길면 며칠 가량 소요된다고 군이 밝혔습니다. 이동식 확성기는 도로가 연결된 곳이면 즉각 이동해서 운용할 수 있습니다.
이 소식통은 "이동식 대북 확성기 장비는 차량이기 때문에 언제든 기습적으로 가동할 수 있다"며 "대북 확성기 방송을 재개한다면 고정식보다는 이동식을 먼저 가동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군의 한 관계자는 "고정식은 (장비를) 완전히 고정해버린다는, 더 강한 임팩트가 있고 이동식은 그 나름의 압박감이 있다"며 북한 도발 양상에 따라 이동식에서 고정식으로 대응 수위를 높여 나갈 방침을 시사했습니다.
정부는 이날 국무회의 의결을 통해 9·19 남북군사합의 전체 조항의 효력을 정지해 대북 확성기 방송 재개 관련 법적 족쇄를 풀었습니다.
9·19 군사합의 서문에 '상대방에 대한 일체의 적대행위 전면 중지'가 규정돼 있는데 이를 무력화한 것입니다.
대북 확성기는 최전방 지역 24곳에 고정식으로 설치돼 있었고 이동식 장비도 16대가 있었지만, 2018년 4월 판문점 선언에 따라 고정식 확성기는 철거돼 창고에 보관 중이고 이동식 장비인 차량도 인근 부대에 주차돼 있습니다.
군 관계자는 "고정식이든 이동식이든 언제든 재가동할 수 있다"며 "지시가 떨어지면 바로 이
이성준 합동참모본부 공보실장은 "군사합의 효력이 정지되면 작전의 융통성이 많아지고 우리 군이 할 수 있는 것들이 늘어난다"며 "즉각적으로 할 수 있는 것도 있고, 그런 것을 준비하는 모습을 공개할 수도 있는데 이는 많은 부분 북한에 달려 있다"고 말했습니다.
[오지예 기자/calling@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