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교수들이 지난달 30일, 이달 3일에 이어 오늘(10일)도 휴진합니다.
휴진이 의무가 아니기 때문에 참여율이 얼마나 될지 확실하지 않지만, 응급·중증·입원환자에 대한 진료와 수술은 그대로 진행해 앞선 휴진 때처럼 의료 현장에서 혼란이 벌어지지는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 |
↑ 의대 정원 증원을 두고 의정갈등이 이어지는 가운데, 서울 시내 한 대학병원에서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다. / 사진 = 연합뉴스 |
분당서울대병원의 경우 이달 3일 교수 휴진으로 외래진료가 소폭 줄었는데, 이번에는 외래와 수술이 예정대로 이뤄질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서울대병원이나 서울아산병원, 세브란스병원도 병원 자체가 문을 닫는 일 없이 정상 운영된다는 입장입니다.
서울성모병원은 개원기념일을 맞아 오는 10일 오전에는 정상 진료하고 오후에는 애초에 휴무라고 밝혔습니다.
전남대병원은 집단 휴진하는 진료과가 없는 것으로 파악했고, 울산대학교병원은 이달 3일 이미 휴진한 만큼 이날에는 휴진에는 동참하지 않는다는 입장입니다.
계명대 의대 교수들은 이날 자율 휴진에 들어가지만, 이달 3일 휴진 때도 내과 소속 교수 일부만 휴진하면서 사실상 정상 진료가 이뤄졌습니다.
다른 지역에서도 크고 작은 휴진 움직임은 있으나 정상 진료에는 큰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교수들이 휴진으로 맞서는 가운데 정부는 이날 의료개혁특별위원회 2차
대한의사협회(의협)와 전공의 등이 빠진 채 출범한 의료개혁특위는 앞선 1차 회의에서 중증·필수의료 보상 강화 등 4대 논의 과제를 선정한 바 있습니다.
이날 2차 회의에서는 특위 산하 전문위원회 구성·운영방안과 4대 과제의 구체적 의제를 다룰 예정입니다.
[최유나 디지털뉴스 기자 chldbskcjstk@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