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한국지질자원연구원/사진=연합뉴스 |
최근 제주 동부지역에 건물 흔들림 신고가 잇따랐을 당시 3차례에 걸쳐 대기 중 진동이 감지됐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다만, 이 진동이 발생한 원인은 여전히 오리무중입니다.
오늘(2일)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 지진연구센터에 따르면 제주 동부지역에 건물 흔들림 신고가 처음 접수된 지난달 26일 오전 10시 17분부터 2분간 3차례 공중음파 신호가 감지됐습니다.
공중음파는 태풍과 지진 등 자연재해나 발파, 폭발 등 대기 중 압력 변화로 발생하는 20㎐(헤르츠) 이하의 아주 낮은 주파수를 가진 소리 또는 파동입니다.
이와 같은 초저주파는 사람이 직접 듣지 못하며, 지진계 등 장비에 기록되거나 진동으로 느낄 수 있습니다.
지진연구센터는 공중음파 관측 장비가 있는 제주시 조천읍 제주돌문화공원에서 북쪽인 제주시 우도면 선상에서 음파가 발생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제주지역에 공중음파 관측 장비가 1개만 있는 탓에 음파 발생 위치를 정확히 특정하지 못했습니다.
지진연구센터 관계자는 "공중음파가 발생하는 이유는 공사 중 발파, 핵실험, 천둥 등 너무나 다양하다"며 "대규모 폭발이 없어도 종종 공중 음파가 관측된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확실하게 말할 수 있는 것은 당시 지진이 발생하거나 지층이 흔들린 적은 없었다는 것"이라며 "공중음파가 측정된 것으로 보아 지상 또는 하부 대기층에서 폭발성 현상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지난달 26일 오전 10시 17분께 서귀포시 표선면 토산리에서 "건
제주도는 흔들림 유감 신고 13건 중 건물 내부 혹은 건물 근처에서 진동을 느낀 6건에 대해 긴급 안전 점검을 벌였으나 현재까지 사고 우려가 있는 곳은 없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정민아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jma1177@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