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과대학·대학병원 교수들이 오늘(1일)부터 근무 시간을 조정하고 외래 진료와 수술을 줄이는 가운데, 개원의도 주 40시간 단축 진료에 나선다고 밝히며 환자들의 큰 불편이 예상됩니다.
![]() |
↑ 사진=연합뉴스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등 20개 의대의 교수 비상대책위원회가 모인 전국의대교수비상대책위원회(전의비)는 지난달 30일 "다음 달 1일부로 24시간 연속근무 후 익일 주간 업무 '오프'를 원칙으로 하는 데 동의했으며, 이 근무조건에 맞춰서 중증·응급환자 진료를 유지하기 위해 수련병원별로 외래와 수술을 조정하기로 의결했다"고 밝혔습니다.
또다른 의대 교수단체인 전국 의과대학 교수협의회(전의교협)은 앞서 지난달 25일부터 외래진료, 수술, 입원 진료 근무 시간을 법정 근로시간인 주 52시간으로 줄였으며, 1일부터는 외래 진료를 최소화해 중증 및 응급 환자 치료에 집중하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여기에 어제(지난달 31일) 의협 비상대책위원회도 회의를 열고 진료 축소 동참을 선언했습니다.
김성근 신임 의협 비대위 언론홍보위원장은 "몇 가지 제안을 검토한 결과 그동안 움직이지 않았던 개원의도 주40시간 진료 시간을 지키기로 결론 내렸다"며 "자연스럽게 확산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에 따라 중증이 아닌 환자의 대학병원 외래 진료는 더욱 줄어들고 동네 의원에서의 야간 진료 등이 일부 어려워질 전망입니다.
아울러 주요 상급종합병원을 비롯한 전국 병원에서는 이미 병동·병상 운영 축소·중단 움직
서울대병원은 전체 병동 60여개 중 응급실 단기병동, 암병원 별관 일부 등 10개 병동을 폐쇄했고, 서울아산병원도 일반병동 56개 중 9개를 폐쇄했습니다.
이같은 의료 공백에 환자 뿐 아니라 병원 노동자 등도 정부와 의료계 간 대화를 통한 사태 해결을 거듭 호소하고 있습니다.
[오지예 기자/calling@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