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반은 "동성결혼 허용해야"…"가족·출산정책 근본적 전환돼야"
![]() |
↑ 결혼은 반드시 해야 한다(%)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제공 |
'결혼하면 자녀를 가져야 한다'는 인식도 19%에 그쳐 향후 저출산 대책을 세울 때 이 같은 가치관 변화를 고려해야 할 것이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은 오늘(14일) '2023 청소년 가치관 조사 연구' 보고서에서 이러한 결과를 내놓았습니다.
지난해 5∼7월 전국 초·중·고교생 7천718명(남학생 3천983명·여학생 3천735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에 따르면 29.5%만이 '결혼은 반드시 해야 한다'고 답했습니다.
73.2%가 해당 항목에 동의했던 2012년과 비교하면 11년 만에 반토막도 못 되는 수준으로 급감한 것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남학생(82.3%→39.5%)보다 여학생(63.1%→18.8%)에게서 더욱 도드라지게 나타났습니다. 연구진은 "여학생을 중심으로 결혼은 필수가 아닌, 개인의 '선택'이라는 가치관이 확산한 것"이라고 해석했습니다.
한편 '결혼하면 자녀를 가져야 한다'는 인식은 19.8%에 그쳤지만, '결혼하지 않고도 자녀를 가질 수 있다'는 데는 60.6%가 동의해 더는 청소년들이 결혼과 출산을 동일시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 |
↑ 청소년-성인 간 결혼 인식 격차(%)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제공 |
'남녀가 결혼하지 않아도 함께 살 수 있다'와 '외국인과 결혼할 수 있다'고 답한 청소년은 각각 81.3%, 91.4%였습니다.
특히 '동성결혼을 허용해야 한다'는 데 동의한 청소년은 52.0%였습니다.
'로봇 인간이나 로봇 반려동물도 가족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 청소년은 61.4%, '자녀를 입양할 수 있다'고 생각한 청소년은 89.4%였습니다.
청소년이 배우자를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는 82.0%(복수응답)가 '성격'을 꼽았습니다.
조사를 시작한 2008년 이래 '성격'은 줄곧 배우자 선택의 최우선 요소였습니다. 다만 꾸준히 2순위를 지켜온 '경제'는 3순위로 밀렸고, 그 자리를 '외모·매력'이 차지했습니다.
이 밖에 청소년이 생각하는 좋은 부모의 요건은 '부모 자신의 건강관리'가 98.4%(복수응답)로 가장 많았습니다.
연구진은 "청소년들이 더 이상 전통적인 가치관을 유지하고 있지 않다는 사실이 이번 조사에서 드러났다"며 "가족·출산 정책이 근본적으로 전환돼야 한다는 의미"라고 분석했습니다.
그러
[ 최윤영 기자 / choi.yoonyoung@mbn.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