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중학생 사이에서 경제적 가치 추구 현상
![]() |
↑ 의사 자료화면 /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
초등학생과 중학생이 직업을 선택할 때 경제적 가치를 추구하는 현상이 최근 4년 새 더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30일) 한국직업능력연구원(직능연)이 발표한 '학생의 직업가치 변화: 의사와 법률전문가를 중심으로' 보고서에서는 2018년과 2022년 초·중등 진로교육현황조사를 통해 학생들의 희망 직업 선택 이유를 분석한 내용이 담겼습니다.
2018년과 2022년의 희망 직업 선택 이유를 비교했는데, 1위 응답은 모두 '내가 좋아하는 일이라서'로 나타났습니다.
다만, 이 같이 응답한 학생 비율은 4년새 초·중·고교 모두 5%포인트 안팎으로 낮아졌습니다. 대신 '돈을 많이 벌 수 있을 것 같아서'라는 응답률은 높아졌습니다.
초등학생은 2018년 4.4%에서 2022년 15.5%로 늘어났습니다. 중학생은 5.8%에서 8.9%로, 고등학생은 6.5%에서 9.0%로 증가했습니다.
![]() |
↑ 사진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
특히 '의사'를 희망 직업으로 선택한 가장 큰 이유는 '돈을 벌 수 있을 것 같아서'로 바뀌었습니다.
2018년에는 '내가 좋아하는 일이라서 의사가 되고 싶다'라는 응답이 초등학생 22.3%·중학생 25.7%로 가장 많았습니다.
하지만, 2022년에는 '돈을 많이 벌 수 있을 것 같다'는 응답이 초등학생 30.1%, 중학생 29.3%로 나타나며 1위를 차지했습니다.
학생들이 꼽은 희망직업에서 의사 순위도 올랐습니다.
초등학생은 지난해 4위에서 2위로, 고등학생은 7위에
직능연은 "직업을 통해 경제적 자유와 안정을 추구하는 반면 직업을 통한 창의적 도전과 발전 가능성을 추구하는 경향은 줄고 있다"며 "사회적으로 직업 가치에 대한 다양성과 균형성을 강조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최유나 디지털뉴스 기자 chldbskcjstk@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