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경찰청. / 사진 = 연합뉴스 |
경찰청이 경찰서 정보과 등을 축소·폐지하는 조직개편에 나선 가운데 경찰 정보기능 약화, 통폐합 형평성 논란 등 다양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번 조직개편을 시행하는 이유는 현장 치안을 강화하기 위함입니다. 정보과와 같은 행정·관리 업무 인력을 줄이고 현장 투입 인력을 보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지난달 18일 경찰청은 이를 골자로 한 조직개편안을 발표했습니다. 개편안에 따르면 행정·관리 업무를 하는 내근 부서를 통폐합하고 감축한 인력 2975명을 순찰과 범죄예방 활동 등에 투입할 예정입니다. 이중 정보과도 축소·통폐합 대상입니다
경찰 내부에서는 취지는 동의하면서도 실효성 등 다양한 우려를 보이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정보과 통폐합으로 경찰 정보기능이 약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습니다.
지역사회와 경찰 사이 '중간다리' 역할을 해오며 정보를 파악하는 정보경찰의 역할이 약화될 수 있다는 지적입니다.
한편 통폐합 과정에서 형평성 논란도 제기됩니다.
정보과 축소·폐지에서 경찰청이 내세운 기준은 집회 건수입니다. 부산경찰청의 경우 집회 신청 건수가 가장 많은 연제서, 부산진서, 중부서의 정보과가 살아남았습니다.
이 조치로 확보되는 인력은 20여명 정도로, 경찰청은 일선 지구대 등 현장 인력으로 이들을 활용할 계획입니다.
이 가운데 중부서를 두고 잡음이 나오고 있습니다.
중부서는 집회 신청 건수가 많지만, 집회 중요도나 비중 면에서는 타 경찰서보다 떨어진다는 평가가 정보 형사들 내부에서 불거졌습니다.
남부서는 화물연대·미군 8부두·정당 사무실, 동부서는 일본 영사관과 소녀상, 해운대서는 해운대해수욕장을 끼고 있
경찰청 소속인 정보 경찰이 경찰서나 현장에 투입되면서 업무 혼란도 야기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한편 조직개편은 내년 초 정기인사에 반영될 예정입니다.
[김혜균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kimcatfish@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