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제가 없어 치명률이 18%되는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바이러스의 숙주인 외래종 생물이 국내에서 처음 발견됐습니다.
오늘(26일) MBC에 따르면 서울대 연구진은 지난해 4월 인천 대청도를 찾은 철새인 촉새에 달라붙은 외래종 생물을 발견, 조사에 착수했습니다. 그 결과 중국 남부에 서식하는 매부리엉에피참진드기가 철새의 몸에 붙어 이곳에 온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이 진드기의 몸에서는 감염되면 18%의 치명률을 가진 SFTS 바이러스가 발견됐습니다. 우리나라를 경유하는 철새에서 이 바이러스가 발견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중국 토종 바이러스인 SFTS는 국내에서 2013년 첫 환자가 보고된 이후 빠르게 확산했습니다. 현재 국내에서는 제3급 감염병으로 지정·관리 중이며 상용화된 백신과 치료제가 없어 진드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바이러스는 국내 숲속에서도 발견되는 작은소피참진드기에도 있습니다.
해당 바이러스가 유입되는 경로는 중국에서 수입하는 가축과 동물을 통한 것으로 추정됐는데, 이번 조사로 철새를 통해서도 올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전문가들은 중국 토종 질병들이 국경을 넘어 우리나라와 일본 그리고 철새 이동 경로상에서 이런 바이러스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렇게 예측하는 이유 중 하나는 기후변화인데, 기온이 상승하면서 진드기의 수가 늘고 서식지도 넓어지고 있습니다. 진드기가 늘면 철새에 달라붙어 전파될 확률도 높아집니다.
진드기가
치명률이 최대 40%나 되는 ‘크리미안콩고출혈열’도 진드기가 전파하는 바이러스 질환으로, 현재 중국과 인도 등 아시아 각국에서 확산하는 중이며 우리나라 인근까지 다가온 상태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김가은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kimke3998@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