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연합뉴스 |
주 5일제를 적용받는 근로자들은 내년에 쉬는 날이 모두 119일에 달해 올해 117일보다 이틀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내년에 가장 긴 연휴는 추석 연휴로 9월 14일 토요일부터 18일 수요일까지 5일입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런 내용의 '2024년도 월력요항'을 22일 발표했습니다. 월력요항은 우리나라 달력 제작의 기준이 되는 자료로 천문법에 따라 과기정통부가 매년 발표합니다.
월력요항에 따르면 내년은 2월이 29일까지 있는 윤년으로 1년이 366일이 됩니다.
일요일과 대체공휴일을 포함한 공휴일 수는 올해와 같은 68일입니다.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일인 4월 10일도 내년 공휴일에 포함됐습니다.
주 5일제 적용 대상자는 공휴일 68일과 토요일 52일을 더한 120일 중 설날 연휴 둘째 날(2월 10일)이 토요일과 겹침을 고려하면 모두 119일을 쉴 수 있습니다.
사흘 이상 연속 휴일은 모두 5번으로 내년 1월 1일 새해 첫날 연휴가 2023년 12월 30일 토요일부터 사흘간 이어지며, 설 연휴가 대체공휴일을 포함해 나흘(2월 9일~12일), 3·1절 연휴(3월 1일~3일)와 대체공휴일을 포함한 어린이날 연휴(5월 4일~6일)가 각각 사흘씩입니다.
추석 연휴는 내년에 유일한 5일 연속 휴일입니다.
올해에 이어 내년 월력요항에도 지방 공휴일이 포함됐습니다.
지방 공휴일은 '지방 공휴일에 관한 규정'에 따라 지방자치단체가 해당 지역에서 발생한 역사적 사건을 기념할 수 있는 날을 지정한 것으로 해당 지자체 관공서는 휴무하고,
제주도 4·3희생자 추념일(4월 3일), 전북 정읍시 동학농민혁명 기념일(5월 11일), 광주광역시 5·18 민주화운동 기념일(5월 18일)이 있습니다.
내년도 월력요항과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과기정통부와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우주지식정보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박통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