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카카오 공동체/사진=카카오 홈페이지 |
“이대로면 망할 수 밖에 없는데.."
잘 나가던 카카오 공동체가 대수술에 들어갔습니다. 무더기 적자 사태로 "이대로 가다간 카카오조차도 망할 수 있다”는 위기감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실제 카카오엔터프라이즈 1406억원, 카카오엔터테인먼트 138억원, 카카오스타일 518억원, 카카오페이 455억원, 카카오브레인 301억원, 카카오헬스케어 85억원 등 주요 계열사 상당수가 지난해 적자를 냈습니다.
올 들어서는 상황이 더 심각한 것으로 전해집니다. 이미 카카오의 영업 이익은 반토막이 났습니다. 카카오 계열사의 상황은 더 심각합니다. 경기 침체로 자금줄이 마르면서 투자유치와 IPO(기업공개) 기반의 카카오식 성장방식도 난관에 봉착했습니다.
수익을 내지 못하는 사업 정리 및 인력 구조조정에 들어갔습니다. 높은 연봉으로 부러움을 샀던 카카오 공동체 직원들 사이에는 “수익을 내지 못하면 짤릴 수 있다”는 위기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10년 이상 고연차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 퇴직에 들아갔습니다. 직책이 있거나 경력 10년 이상 직원이 이·전직 시 최대 15개월치 기본급과 500만원의 지원금을 지급합니다. 퇴직일은 7월 31일입니다. 회사는 "인력 선순환을 위한 조처로 인위적 구조조정이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지만, 업계에선 사실상 희망퇴직으로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7년 만에 적자를 냈습니다. 많은 콘텐츠 자회사를 인수하며 부작용에 시달렸습니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사우디아라비아와 싱가포르 국부펀드 등으로부터 1조 2000억 원의 투자금을 확보해 재무적으로 어려움을 없다는 입장이지만, 최근 SM엔터테인먼트 인수에만 1조 2000억 원을 썼습니다.
1000억 원이 넘는 적자를 낸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대표까지 교체하고 고강도 조직 개편에 돌입했습니다. 카카오 공동체 내에서 사실상 구조조정 신호탄을 쏘아올렸습니다. 적자 규모가 전년 대비 약 500억 원이나 늘어났고, 추가 투자 유치에도 실패하면서 자금난에 봉착했습니다.
투자 혹한기를 맞아 카카오의 성장방식이 위기를 맞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카카오 자회사들은 이익을 못 내도 성장가능성을 바탕으로 외부 투자유치와 기업공개(IPO)를 통해 성장해 왔는데, 자본시장이 얼어붙으면서 자금줄이 말랐습니다. 실적 악화로 기업공개(IPO)에도 난관에 부딪쳤습니다.
국민 메신저로 알려진 ‘카카오톡’ 위상도 크게 위협받고 있습니다. 이대로 가다간 국내 시장에서 1위자리를 구글 유튜브에 내줘야 할 판이 됐습니다. 이는 2010년대 이후 태어난 어린 세대를 중심으로 영상 등 시각 정보가 풍부한 플랫폼(유튜브)을 선호하는 방식으로 소비가 급속히 변화한
지난달 카카오의 카톡 월간 실사용자 수(MAU)는 4145만 8675명으로 1위를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2위인 구글의 유튜브(4095만1188명)와 격차는 50만 7487명에 불과했습니다. 격차가 갈수록 줄고 있습니다. 최근 들어 카카오톡 사용자의 이탈 속도가 심상치 않습니다.
[서예림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sylanastasia7767@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