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 머리 싹둑, 슬리퍼 신은 채 범행한 정유정…감각에 예민한 자폐인 특성 보여
또래 여성에게 접근해 흉기로 살해하고 시신을 훼손·유기한 정유정에게 자폐적 성향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SBS '그것이 알고 싶다'는 어제(17일) '밀실 안의 살인자 정유정은 누구인가?'라는 부제로 정유정 사건에 대해 탐사 보도했습니다.
정유정(23)은 지난달 27일 혈흔이 묻은 캐리어를 숲속에 버리는 것을 이상하게 여긴 택시 기사의 신고로 경찰에 붙잡혔습니다. 공개된 CCTV 영상에서 정유정은 범행 직전 긴 머리를 자르고, 사건 당일 미리 사둔 교복을 입고 중학생인 척 위장했습니다.
방송 내용에 따르면 정유정은 중학생 시절 조용하긴 했지만 ,친구들과 곧 잘 어울려 놀던 평범한 학생이었습니다. 그런데 고등학교를 진학한 뒤로는 친구들과 대화도 나누지 않고 특이한 행동을 반복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의 고등학교 동창 A씨는 방송 인터뷰에서 "커튼을 옆으로 자기한테 둘러서 독서실처럼 만들어놨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A씨는 당시 "(내가) '유정아 너 또 그러고 있니?' 이러면 (정유정이) 그냥 '어' 이러고서는 그 안에서 뭘 먹기도 하고 '유정아, 뭐 먹어?' 하면 '그냥 과자'라며 조용히 먹었다"고 덧붙였습니다. 또, 동창 B씨는 "오랫동안 아무 말도 안 하면 대화도 해보고 싶고 그럴 만도 한데, 얘기를 해도 대답도 안 하고 아무 표정도 없어서 놔뒀던 것 같다"고 과거를 회상했습니다.
이광민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는 "고등학교 친구들의 증언을 종합해 보면 정유정의 자폐적인 성향을 짐작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범행 과정에서 노출된 정유정의 모습에서도 자폐 성향을 엿볼 수 있는 부분이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특히, 이 전문의는 "독특한 게 모든 범행 과정에 슬리퍼만 신고 있다. 자폐 성향의 사람들이 신체 감각에 되게 예민하다. 타이트한 옷 등을 많이 불편해한다. 그리고 타인의 시선은 기본적으로 신경 쓰지 않는다"고 지적했습니다. 더불어 그는 "또 다른 특징이라면 독특한 말투와 걸음걸이가 있다. 이 역시도 자폐적인 특성을 조금 고려할 수 있는 요소"라고 말했습니다.
임명호 단국대 심리학과 교수는 정유정이 상대적으로 자폐 성향이 적은 아스퍼거 증후군(고기능성 자폐)일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했습니다. 그는 "과외 선생님들한테 글로 이야기하는 장면에서는 어색하지 않게 원하는 걸 정확하게 물어보고 있고, 둘러댈 줄도 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그는 "직접 대면했을 때 사회성이 더 떨어진다면 자폐 특성이라고 보는 게 맞다"고 덧붙였습니다.
정유정의 이런 자폐 성향이 반사회적 범죄에 영향을 끼쳤을 가능성에 대해 임 교수는 "굉장히 의아하다. 아무리 심각한 정신질환이나 사이코패스도 선천적인 것만으로 사고를 치지는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임 교수는 더불어 "이런 특성을 가진 잠재적으로 가지고 있던 사람이 엄청난 트라우마에 노출이 돼 두 번째 충격이 오면, (잠재돼 있던
표창원 범죄심리분석가 역시 "다른 범죄자들의 과거 행적을 보면 이해할 만한 것들이 나온다. 반면 정유정한테는 그런 게 전혀 보이지 않는다"면서 "어떠한 동기도 없는 상태라, 너무 섣불리 단순하게 규정짓지는 않았으면 좋겠다"고 당부했습니다.
[주나연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juliet31225@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