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서울 광진구 어린이대공원을 탈출한 얼룩말 '세로'. /사진=연합뉴스 |
지난 3월 그랜트얼룩말 '세로'가 동물원에서 탈출해 도심 거리를 활보한 가운데, 의료진이 세로를 생포하기까지 흥분을 가라앉히기 위해 진정·마취제를 7차례 투여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의료진은 세로에게 진정제 '데토미딘'과 통증에 반응해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는 마취제 '케타민'을 총 7차례 투여했습니다.
하지만 이를 두고 일각에선 동물복지와 고통 최소화 차원에서 고위력 마취제 등 더 강한 약물을 사용함으로써 투여 횟수를 줄여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환경부에 따르면, 국내 공영동물원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진정·마취제 성분은 16종이며, 마취제로는 케타민·졸레틸(틸레타민·졸라제팜)·프로포폴·알팍살론, 흡입마취제로는 이소플루란·세보플루란이 있습니다. 아울러, 진통제 부토파놀·레미펜타닐과 진정제 데토미딘·메데토미딘·자일라진·다이아제팜·에이스프로마진·로라제팜·아자페론 등도 활용됩니다.
그러나 해당 목록에는 코끼리와 기린, 얼룩말 등 대형동물에게 사용하는 대표 진통제 '에토르핀'과 '카펜타닐'이 빠져 있습니다. 마약류관리법에 따라 마약으로 분류돼 수입이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이에, 동물원들은 에토르핀과 카펜타닐이 실질적으로 대형동물에게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마취제이고, 마취 효과를 높여 외과수술을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며 고위력 동물용 마취제 도입의 필요성을 주장했습니다.
일반적으로 몸무게가 커지면 진정·마취제 강도를 높이거나 용량을 늘려야 진정·마취 효과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또, 입으로 바람을 불어 넣어 주사기를 발사하는 마취 장비 '블로건(blowgun)'을 활용할 경우, 용량을 5ml 이상 늘릴 수 없기 때문에 저용량 고효율 약물의 필요성이 더욱 커집니다.
청주동물원 진료사육팀장인 김정호 수의사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세로처럼) 7발이나 맞고도 가만히 있을 동물이 많지는 않다"면서 "시민 안전도 있고 동물이 무사히 돌아오려면 약력이 큰 마취제가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다만 환경부는 "사후관리 미흡으로 사람에게 사용되거나 오남용되면 심각한 사회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라며 신중한 태도를 취했습니다. 에토르핀 약효는 모르핀의 50∼100배, 카펜
이인형 서울대 수의과대학 교수는 "대형동물 (수술·진료에) 활용할 수 있는 마취제를 준비해서 활용할 수 있으면 좋다"면서 "수의사 면허를 가진 전문가가 마취제를 사용하면 오남용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오서연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syyoo98@yonsei.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