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박근혜 정부 때도 하지 않던 일…복지·경제 모두 망가질 것"
![]() |
↑ 김동연 경기도지사 / 사진 = 연합뉴스 |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윤석열 대통령의 '사회보장 서비스의 시장화·산업화' 발언을 두고 "복지에 대한 어이없는 발상"이라고 비판했습니다.
김동연 지사는 어제(1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사회보장제도는 자본주의 경쟁 사회가 돌봐주지 못하는 취약계층을 보호하는 것이 가장 큰 목적이다"라며 "이런 제도에 경쟁 체제를 도입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달 31일 개최된 사회보장전략회의 모두발언에서 "일률적으로 돈을 나눠주면 그냥 돈을 지출하는 것에 불과하다"며 "사회보장 서비스 자체를 시장화·산업화하고 경쟁 체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김 지사는 이어 "사회서비스에 시장 논리가 더 확대된다면 가격이 높아지면서 서비스를 가장 필요로 하는 계층이 서비스로부터 배제되는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사회서비스의 시장화는 정말 위험한 발상"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아울러 "복지는 '재정 소모'가 아닌,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사회적 투자'"라며 "선제적인 사회적 투자를 통한 '지속 가능한 성장', 사회안전망 구축을 통한 '질 높은 성장'이 우리가 갈 길"이라고
김 지사는 "경제가 다시 거꾸로 가는 것 같아 안타깝다"며 "이명박 정부나 박근혜 정부 때도 하지 않았던 일"이라고 일갈했습니다.
그러면서 "대통령 발언처럼 사회보장을 시장원리로만 접근하면 결국 복지도, 경제도 망가지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정다빈 디지털뉴스 기자 chung.dabin@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