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 단체 "성소수자 향한 차별적 행정"
퀴어축제 조직위 관계자 "장소 확정 아냐...축제 진행 예정"
![]() |
↑ 사진=연합뉴스 |
서울시의 불허로 올해 서울광장을 못 쓰게 된 서울퀴어문화축제조직위원회(조직위)가 서울 도심의 다른 장소에서 퀴어문화축제를 추진합니다.
조직위는 7월1일 '2023 제24회 서울퀴어문화축제'를 개최하기 위해 서울경찰청과 서울 남대문경찰서, 종로경찰서에 집회 신고를 했다고 어제(1일) 밝혔습니다.
조직위 관계자는 "집회 신고를 했지만 아직 장소가 확정된 것은 아니다"라며 "7일 기자회견을 통해 구체적인 장소 등을 공개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관계자는 "올해 서울광장 사용이 불허됐다고 해서 형식이 달라진 것은 아니며 매년 하던 형식으로 축제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지난해 축제 참가자를 13만5천여명으로 추산했는데 올해는 서울광장 (사용 불허) 관련 소식도 있어서 더 많은 참가자가 모이지 않을까 예상한다"고 덧붙였습니다.
퀴어문화축제가 서울광장이 아닌 곳에서 열리는 건 코로나19로 오프라인 행사를 개최하지 못한 시기를 제외하면 2015년 이래 처음입니다.
지난달 3일 서울시 열린광장운영시민위원회(시민위)는 조직위의 서울광장 신청에 불허 결정을 내렸습니다.
지난달초 시민위는 6월30일∼7월1일 서울광장 사용을 신청한 퀴어문화축제와 기독교단체 CTS문화재단의 '청소년·청년 회복 콘서트' 2건을 심의한 결과 CTS 문화재단의 손을 들어줬습니다.
청소년·청년 회복 콘서트가 '서울광장의 사용 및 관리에 관한 조례'에서 우선순위인 어린이·청소년 관련 행사에 해당한다고 시민위는 판단했습니다.
이에 대학생 단체들은 "성소수자에 대한 차별적 행정"이라며 반발했습니다.
서울대 학생·소수자 인권위원회와 경희대 성소수자동아리 아쿠아 등 10개 대학의 20개 단체는 지난달 12일 오전 서대문구 창천동에서 '서울퀴어퍼레이드 서울광장 사용 불허 규탄 대학가 무지개 행진'을 했습니다.
이들은 "서울퀴어문화축제의 서울광장 사용을 불허한 서울시의 결정은 국가의 혐오를 여실히 드러낸 또 다른 순간"이라며 "유구한 혐오의 논리이며 행정에마저 드리운 차별의 발악"이라고 주장했습니다.
한편 이번 달 17일 개최될 제15회 대구퀴어문화축제를 두고 대구퀴어반대대책본부와 대구동성로상인회는 대구퀴어문화축제 조직위원회를 국유재산법 위반 및 식품위생법을
대구퀴어문화축제 조직위가 축제를 진행하며 동성로 대중교통전용지구 도로를 무단으로 점용해 식품 판매 노점을 운영했다는 게 이유입니다.
이에 대구퀴어문화축제 조직위는 정당하게 집회 신고와 절차를 밟아 불법 점용이 아니라 주장했습니다.
[이승지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seungjilee@kaka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