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연합뉴스 |
우리나라 50대 이상 중년 여성들은 골다공증에 의한 골절 위험을 걱정하면서도 정작 자신의 골밀도 수치에 대한 인지율은 10명 중 2명꼴에 그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오늘(22일) 대한골대사학회에 따르면, 골다공증이 주로 발생하는 50~70대 여성 1천8명을 대상으로 '2023 골다공증 대국민 인식 조사'를 벌인 결과 골밀도 수치에 대한 인식률이 낮아 대책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골다공증은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으로 뼈에 구멍이 많이 생겨 쉽게 부러질 수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전체 환자의 90%가량은 50대 이후 중년 여성입니다.
골다공증이 무서운 건 손목과 척추, 골반 등에 골절의 위험을 높이기 때문입니다. 이 중에서도 척추 골절과 골반 골절은 노년기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리는 주요 원인일 뿐 아니라 조기 사망으로 이어질 위험이 큽니다.
척추 골절과 골반 골절 환자가 1년 내 사망할 확률은 각각 5∼10%, 15∼20%에 이릅니다.
골다공증은 체내 골밀도 수치인 'T-점수'가 -2.5 미만인 경우를 말하며, 이보다 높은 -1∼-2.5는 골감소증으로 분류합니다.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의 90.5%는 골절이 건강한 노후를 위협하는 위험한 질병이라고 답했습니다.
그러나 자신의 골밀도 수치를 알고 있다고 답한 비율은 22.8%에 그쳤습니다. 골밀도 검사를 받아본 사람조차 10명 중 8명(82.7%)이 자신의 골밀도 수치를 모르고 있었습니다.
대한골대사학회 이유미 총무이사(세브란스병원 내분비내과)는 "우리나라 50대 이상 여성들은 암, 치매만큼 골절을 무서워하면서도 정작 자신의 골밀도 수치(T-점수)를 몰라 골다공증 치료 기회를 놓칠 위험에 놓여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현재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국가건강검진 사업을 통해 54세와 66세 여성의 골밀도검사를 전액 무료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김가은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kimke3998@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