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고독사 위험군 152만 5000명⋯50 ·60대 가장 많아
고독사 실태조사 주기 5년에서 1년으로 단축
↑ 사진=연합뉴스 |
정부가 2027년까지 사회에서 고립돼 홀로 생을 마감하는 '고독사' 사망자 수를 지금보다 20% 줄이는 것을 목표로 고독사 위험군 발굴과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오늘(18일) 보건복지부는 관계부처와 함께 '제1차 고독사 예방 기본계획'(2023~2027년)을 발표했습니다.
지난해 복지부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1인 가구 947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고독사 위험군이 인구 3%인 152만5000명으로 추정된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복지부가 지난해 처음 실시한 실태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고독사 건수는 2017년 2412건에서 2021년 3378건으로 증가했습니다. 연령대 별로 50대가 36만 3천 명, 60대가 35만 5천 명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정부는 전체 사망자 100명당 고독사 수를 2021년 1.06명에서 2027년 0.85명(20%)으로 줄이겠다는 목표를 세웠습니다.
복지부는 오늘 발표한 기본계획에서 세대별 맞춤형 서비스를 통해 고독사 위험을 줄이겠다고 밝혔습니다. 청년층에 대해서는 정서·취업 지원을, 중장년층에는 건강관리·안전·가사·재취업·사회관계 관련 서비스를 각각 제공하고 노인층에게는 의료·건강관리·돌봄 서비스를 강화할 계획입니다.
이 과정에서 대화형 AI도 활용돼 사회적 고립감을 해소하는데 도움을 줄 예정입니다. 고독사 위험군의 생활 패턴을 AI가 습득하도록 한 후 패턴에서 변화가 있을 시 안부를 확인하는 시스템을 도입해 이상 징후를 보이면 지방자치단체로 연결하도록 할 방침입니다.
또 고독사 정보 시스템을 구축해 관련기관 정보를 연계하고, 고독사 실태주기 조사도 5
이기일 복지부 제1차관은 “정부는 사회적 약자에 대한 임종 순간까지 인간 존엄 보장을 위해 기본계획을 마련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승지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leesjee2000@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