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조산아 / 사진=게티이미지 |
국내 출산율이 역대 최저를 기록하고 있는 상황에서 조산·저체중 출생 등 미숙아 비율이 늘고 있습니다.
그런데 임신 37주 이전에 조산으로 태어나면 성인이 되었을 때 만기 출산으로 태어난 사람보다 천식 또는 난치성 폐 질환 발생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만성 폐쇄성 폐 질환(COP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은 흡연, 공기 오염 노출, 감염 등에 의한 기도와 폐의 손상으로 호흡기의 공기 흐름이 제한되면서 만성적인 호흡곤란이 나타나는 질환(만성 기관지염, 폐기종)입니다.
핀란드 오울루(Oulu) 대학 의대 역학 교수이자 핀란드 보건·후생 연구소 연구원인 안나 풀라카 교수 연구팀이 핀란드에서 1987~1998년 태어난 사람들과 노르웨이에서 1967~1999년 태어난 사람들의 출생 기록과 의료기록(핀란드는 29세, 노르웨이는 50세까지)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메디컬 익스프레스(MedicalXpress)가 1일 보도했습니다.
조사 기간에 핀란드와 노르웨이에서 태어난 아이들의 5%가 조산아였습니다.
18세 이후에 천식이 발생한 사람은 4만1천300명(1.6%), COPD 진단을 받은 사람은 2천700명(0.1%)이었습니다.
임신 28주 이전 또는 임신 28~31주에 태어난 사람은 성인이 되었을 때 천식 또는 COPD가 발생할 위험이 만기 출산으로 태어난 사람보다 2~3배 높았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아동기만이
이 연구 결과는 유럽 호흡기 학회(European Respiratory Society) 학술지 '유럽 호흡기 저널'(European Respiratory Journal) 최신호에 실렸습니다.
[오은채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oheunchae_press@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