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마포구청 광장에 설치된 '소각 제로가게' 1호점 / 사진=연합뉴스 |
마포구 소각장 설치의 대안으로 나온 '재활용 중간처리장'.
상암동 신규 광역자원회수시설(폐기물 소각장) 건립에 반발해온 서울 마포구가 소각쓰레기를 줄일 수 있는 '재활용 중간처리장'을 선보였습니다.
마포구청 광장에서 시범 운영을 시작한 소각 제로가게 1호점은 주민 누구나 생활쓰레기를 분리배출·중간처리 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
가로 9m, 세로 3m 크기의 컨테이너 안에서 생활쓰레기를 세척하고 분류·분쇄·압착 등의 과정을 거쳐 깨끗한 재활용 자원으로 만들어 내는 작업이 이뤄집니다.
이곳은 배출 품목에 제한을 두지 않는 대신 수거함을 비닐, 유리병, 종이, 캔, 플라스틱, 의류 등 18종으로 세분화했습니다.
재활용이 불가능한 물품은 별도로 버릴 수 있게 종량제 봉투를 비치했습니다.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만들어진 제로가게에는 도우미가 상주해 방문 주민에게 이용법을 알려줍니다.
구는 소각 제로가게를 이용하는 주민을 위한 유가 보상제도도 마련했습니다.
18개 품목에 책정된 개당 또는 무게당 보상가격에 따라 10원부터 600원까지 포인트를 적립해줍니다.
적립된 포인트는 일주일 후 현금 또는 제로페이로 환급됩니다.
마포구는 앞서 서울시에 상암동 광역자원회수시설 입지선정 백지화를 요구하며 소각장 건립 대안으로 '올바른 분리배출과 생활폐기물 전처리'를 제시해왔습니다.
구는 소각 제로가게 1호점을 시작으로 지역에 제로가게 5곳을 우선 설치할 계획입니다.
이후 이용률과 재활용 처리 효과를 검토해 아파트 단지와 일반 주택가의 국·공유지를 활용해 향후 100곳 이상으로 확
박강수 마포구청장은 "소각장 추가 설치가 유일한 대안이라는 말은 틀렸다"며 "쓰레기를 처리할 또 다른 장소가 아니라 쓰레기를 처리할 올바른 방법을 찾아야 하고, 기피시설을 추가 건립하기 전에 근본적인 해결책이 있다면 그것을 선택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오은채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oheunchae_press@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