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카카오톡/사진=연합뉴스 |
카카오톡 메시지를 통해 접근한 뒤 악성 앱을 유포해 연락처를 빼내는 사이버 공격이 등장해 주의가 요구됩니다.
오늘(21일)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ESRC)는 카카오톡을 통해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악성 앱을 유포하는 사례가 최근 발견됐다고 밝혔습니다.
기존에는 이런 유형의 공격에 만남을 목적으로 하는 데이트 앱이 활용되는 경우가 있었지만, 이번에는 누구나 쓰는 카카오톡을 통한 것이 특징입니다.
공격자는 대상자가 카카오톡 친구로 등록되어 있다거나, 친구 추천에 나타났다며 말을 걸어 호기심을 유발합니다.
가령 "안녕하세요 카톡 친구 정리하다 친구로 되어 있어 톡 드립니다. 실례지만 누구시죠? 저는 **에 사는 *** 이라고 합니다" 등의 메시지를 보낸다는 것입니다.
이 메시지에 반응을 보이면 대화를 이어 나가며 공격 시도를 계속합니다. 평범한 이야기를 주고받으며 자연스럽게 친밀감과 신뢰를 쌓은 뒤 슬쩍 데이트 앱 등 설치파일(.apk)을 보냅니다.
![]() |
↑ 공격자 서버에서 내려받은 앱 목록/사진=연합뉴스 |
이 앱을 설치하면 사용자 휴대전화에 저장된 연락처가 모두 공격자에게 전송돼 악용될 수 있습니다.
ESRC는 "현재까지 파악한 앱들에는 연락처 수집 기능만 있지만 향후 다양한 기능이 추가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공격자는 일반적으로 필라테스·폴댄스 등 강사를 사칭하며 접근하지만, 종종 일반인인 척하며 접근할 수도 있습니다.
이번에 적발된 공격은 이른바 '상호 소통형' 피싱 이메일에서 활용되는 방식
ESRC는 "낯선 사람에게서 온 카카오톡에는 답변하지 말고, 특히 구글플레이가 아닌 다른 경로로 받은 .apk 파일은 절대 설치하지 말기 바란다"고 당부했습니다.
[김가은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kimke3998@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