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유실물’ 1위 ‘지갑’...카드지갑 개찰구서 놓쳐
“잃어버린 위치와 시간 확인이 가장 중요”
오늘(10일) 서울교통공사에 따르면,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의 영향으로 지하철 이용이 늘면서 지난해 공사에 들어온 유실물이 전년 대비 25% 이상 늘어났습니다.
↑ 지하철유실물센터/사진=연합뉴스 |
공사는 지난해 공사가 접수한 유실물은 총 12만7천387건으로 2021년 10만1천618건보다 25.4% 늘었다고 밝혔습니다.
방역수칙이 완화됨에 따라 지하철 이용 승객이 회복세를 보이면서 유실물도 늘어난 것으로 공사는 분석했습니다. 지난해 1∼8호선 수송 인원은 약 21억5천만명으로 전년 19억5천만명보다 10.4% 증가했습니다.
지난해 지하철에서 가장 많이 잃어버린 물건은 지갑으로 전체 유실물의 24.5%(3만1천228건)를 차지했습니다. 휴대전화 16.5%, 의류 14.4%, 가방 14.2%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시대에 따라 지하철 유실물 품목도 변화하고 있습니다. 2006년에는 가방이 전체 유실물의 31.6%에 달하며 가장 많았지만, 점차 밀려 지난해에는 4위를 기록했습니다.
2014∼2017년 줄곧 유실물 품목 1위를 차지하던 휴대전화도 자리에서 밀려났습니다.
2018년 이후부터는 지갑 분실이 가장 많아졌습니다. 교통공사는 "유실물로 접수된 지갑류는 대부분 얇은 카드지갑인 점을 고려하면 교통카드를 넣은 카드지갑을 개찰구 등에서 사용 후 놓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보인다"고 추측했습니다.
이어 공사는 "지하철에서 물건을 분실한 것을 인지했다면 잃어버린 장소와 시간을 확인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고객안전실에 유실물을 신고하기 전에 열차 하차 시각과 방향, 승·하차 위치를 정확히 확인하는 것이 유실물을 찾는 데 도움이 됩니다.
공사는 각 역에서 유실물이 들어오면 우선 경찰청 유실물 포털 사이트인 'lost112'(www.lost112.go.kr)에 등록하고 이후 호선별로 운영 중인 유실물센터로 보냅니다. 승객이 바로 찾아가지 않을 경우
아울러 유실물센터는 지하철 내 물품 보관함에 유실물을 맡기는 서비스도 제공합니다. 야근 등으로 영업시간에 센터를 찾기 어려운 이용객을 위해 유실물센터가 있는 역의 물품 보관함에 유실물을 보관하고, 물건 주인에게 물품 보관함 번호와 비밀번호를 전송합니다.
[김가은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kimke3998@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