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방비, 단열 상태와 온수 사용량 중요"
도시가스 요금 인상으로 인해 '난방비 폭탄'이 현실화하며 어떻게 하면 난방비를 줄일 수 있을지 고민이 늘고 있습니다.
이에 전문가가 나서 개별난방과 지역난방, 중앙난방의 절약법을 하나하나 설명했습니다.
![]() |
↑ 한파가 이어지는 와중, 26일 오후 서울 시내 한 마트에 문풍지를 비롯한 단열용품이 진열된 모습/사진=연합뉴스 |
관련 업종에서 20년 이상 일한 임성수 대표는 어제(26일) YTN과의 인터뷰에서 난방비 절약 '꿀팁'을 전했습니다.
우선 임 대표는 각각 난방의 차이에 대해 설명하고 나섰습니다.
그는 "개별난방은 집집마다 가스보일러든, 기름보일러든 전기보일러든 보일러가 각각 있는 것이며 지역난방은 열병합 발전소에서 열을 만들어서 보내주고, 중앙난방은 각 세대의 아파트 단지 지하에 난방 시설을 갖추고 난방과 온수를 공급하는 방식"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즉 셋 중에 일반 가정집은 '개별난방'이 많다는 것입니다.
임 대표는 "개별난방은 도시가스를 사용하고, 지역난방이나 중앙난방은 각 지하실이나 열병합 발전소에서 보내 요금에 차이가 많이 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단열 상태와 온수 사용량이 가장 중요하다며 "평수가 넓으면 난방비는 많이 나올 수밖에 없다"고 부연한 뒤 "꼭대기나 1층 집 등은 단열이 취약하기 때문에 같은 실내 온도를 측정하더라도 가스비가 많이 나온다"고 전했습니다.
![]() |
↑ 26일 오후 광주 동구 지산2동 한 주택에서 보일러 온도를 11도로 설정해둔 노인의 모습/사진=연합뉴스 |
또 온라인에서 퍼진 '외출 모드'가 가장 저렴하다는 의견에 대해선 난방 방식에 따라 차이가 있다고 조언했습니다.
임 대표는 "지역난방은 외출 모드가 아닌 사용하는 온도보다 약 1~2도 내려놓고 나가는 게 훨씬 이득"이라고 말하면서도 "개별난방은 외출 모드나 반복 타이머를 사용해 방바닥이 식지 않게끔 유지하는 게 가스비가 적게 나온다"고 했습니다.
온라인 속설과 달리, 주로 개별난방을 쓰는 가정집은 외출 모드나 반복 난방을 사용하는 게 좋다는 뜻입니다.
이어 그는 "개별난방의 경우 반복 난방을 하면 귀가 후 적정 온도에 올라가는 시간이 상당히 빠르다”며 “보통 15분 가동하고 4시간 쉬고 또 15분 가동하고 4시간 쉬고 이런 식으로 반복시키는 설정이 가능하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한겨울철에는 20~22도 정도가 가장 적정한 (실내) 온도로 생각된다”며 “온도 설정을 5~6도 더 높게 한다고 해서 더 빨리 난방이 되는 건 아니다. 보일러 가동 시간만 길어지기 때문에 가스비가 상당히 많이 나올 수 있다"고 조언했습니다.
온라인상 잘못 퍼진 난방 꿀팁도 정정에 나섰습니다.
우선 수도꼭지 잠금을 냉수 방향으로 해둬야 한다는 이야기에 대해선 "수도꼭지는 냉수로 놓든 온수로 놓든 전혀 상관없다”며 “개별난방은 온수 방향으로 물을 틀면 그때 보일러가 작동하기 때문에 항상 냉수 방향으로 트는 습관만 들
또 사용할 때만 난방을 돌리는 '간헐적 난방'에 대해서는 "가스비가 조금 적게 나오기는 하겠지만, 한파 시에 동파의 우려가 있다”며 “동파 우려가 있을 때는 오히려 외출 모드나 평소 쓰는 온도보다 좀 낮게 해서라도 계속 켜두는 게 좋다”고 당부했습니다.
[임다원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djfkdnjs@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