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 지역 포함해 중부에도 한파경보 발령
지난달 23일 강원 대관령 평균 온도 ?17.9℃
올 겨울 한파 지속 기간 이례적으로 길어
Q. 한파 지속 원인은?
북극의 찬 공기 한반도 향해 계속 밀려 내려와
동서로 공기 흐름이 막히는 블로킹 현상 발생
'블로킹 한파' 일반 한파보다 추위 세고 길게 지속
Q. 기후변화와 블로킹 한파?
기후변화 영향으로 블로킹 한파 더 늘고 강해져
온난화로 북극이 찬 공기 가두는 능력 약해져
북극 기온 상승 속도 전 세계 평균보다 8배 빨라
Q. 한강 결빙 관측?
올 겨울 한강 결빙 평년보다 16일 빨라
'한강 결빙' 2020년 겨울보다 15일 빨라
최저기온 연?10℃ 이하·최고기온 영하일 때 결빙
Q. 한파특보 발령 시 대응 요령은?
외출 시 목도리·모자·장갑 등으로 보온
저체온증·동상 증상 발생 시 진료 받아야
거동 불편한 노인·환자 두고 외출 시 보호 요청
Q. 수도시설 동파 피해 예방하려면?
헌 옷 등 보온재로 채우고 테이프 등으로 밀폐
장기간 외출 땐 수도꼭지 조금 열어놔야
수도관 얼었을 땐 미지근한 물?드라이로 조치
Q. 전국 한파·대설로 인한 피해는?
전북 60cm 폭설로 236건 시설물 붕괴 피해 접수
전남 비닐하우스·축사 붕괴로 10억 넘는 피해 발생
폭설 내린 제주선 비행기 결항돼 큰 혼잡 겪어
Q. 대설 예보 시 행동요령은?
눈사태 위험지역·노후주택 주민은 이동 준비
선박·어망·어구 등 사전에 결박해 피해 줄여야
외출 자제하고 외출 시 대중교통 수단 이용
Q. 너울성 파도로 시설물 피해 발생?
동해안 4~6m 너울성 파도로 피해 잇따라
삼척서 어선 전복·수산물 저장 시설 일부 파손
강릉서 너울성 파도로 해안 침식 피해 발생
Q. 너울성 파도 위험성은?
일부 관광객 출입 막기 위한 쇠사슬 넘고 사진 촬영
너울성 파도 갑자기 파도 높이 치므로 위험
풍랑주의보 해제되더라도 강한 너울 유입 가능
Q. 강원 동해안 너울성 파도 주의보?
저기압으로 발생한 파도 긴 시간에 걸쳐 연안에 도달
동해의 너울 발생 일수 서해보다 3배 이상 많아
'겨울철 너울' 여름철 너울보다 5배 넘게 발생
Q. 겨울철 기온 전망은?
12월 큰 폭으로 기온 떨어지는 현상 반복
1월 기온 예년과 비슷할 정도로 추울 듯
2월 예년보다 추위 일찍 물러갈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