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1월 산불·최근 5년 11월 평균치의 2배
영남지역 건조특보 지속·경북에 산불 집중돼
11월 평년보다 산불 발생 확률 '매우 높음'
Q. 산불 예방 대책은?
산불 발생 위험도 높은 탐방로 전면 통제
산림보호법 시행령 일부 개정·15일부터 시행
산림 인접 지역서 소각 행위 전면 금지돼
Q. 산불 발생 원인은?
입산자 실화·논이나 밭 소각·담뱃불 실화 때문
논·밭두렁 태우기 등으로 연평균 131건 산불 발생
파쇄기 지원·인화물질 제거반 운영 등 지원 실시
Q. 산불 예방요령은?
산림과 가까운 곳에서 허가 없이 소각 말아야
입산통제구역·통행 제한 등산로 출입 금지
산림 가까운 곳에서 담배꽁초 버리지 말아야
Q. 가을철 산악 사고 원인은?
가을 들어 산악사고 구조 건수 증가 추세
'9월 1400건·10월 1578건' 8월 대비 60% 증가
일반 조난·실족 및 추락·탈진·저체온증 발생
Q. 등산 중 자주 발생하는 부상?
등산 중 가장 흔하게 다치는 부위는 발목 관절
내리막길 땐 체중의 3~4배 무게 앞으로 쏠려
인대가 늘어나거나 파열되는 염좌 발생하기도
Q. 발목 부상 때 응급처치요령은?
환자를 편안한 자세로 앉거나 눕게 해야
하산길이라면 부축하며 다친 부위 접촉 없게 해야
손상 부위 얼음찜질 부기·타박상·통증 감소
Q. 산행 전 준비사항은?
등산 스틱은 발목에 쏟아지는 신체 무게 분산시켜
발에 잘 맞는 등산화로 발목·발꿈치 등 보호
산행 전 계단 오르내리기· 스트레칭 도움 돼
Q. 국립공원 다중이용시설 안전점검?
탐방안내소·야영장 시설 내 가스 및 소방시설 점검
재해위험지구·급경사지·산사태취약지구 점검
국립공원 정상부 탐방객 집중 막기 위해 인력 배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