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책임 지우려다 성난 여론에 철회"
![]() |
↑ 윤희근 경찰청장/사진=연합뉴스 |
지난 1일, 윤희근 경찰청장은 할로윈 참사와 관련해 경찰의 초동 대응이 미흡했다는 이유로 고강도 감찰을 선언했었습니다. 사고 직전 112에 11건의 신고가 접수됐지만 4건만 현장에 출동했기 때문이었습니다.
하지만 경찰청은 7일에 낸 '언론보도 해명 자료'에서 "당초 11건 중 7건은 현장에 출동하지 않은 것으로 보도됐으나 참사 당일 근무일지와 근무자들의 진술을 종합하면 112신고사건처리표에 '상담안내'로 종결 처리한 건은 신고가 있었음에도 출동하지 않은 것이 아니다"라고 밝혔습니다.
이는 ①이미 유사한 신고로 출동한 경찰관이 있어 신고자에게 해당 상황을 설명하고 ‘동일’ 건으로 분류했거나 ②경찰관이 현장에 도착했지만 신고자가 이미 떠난 경우엔 ‘상담 안내’ 종결로 기록될 수 있다는 의미로, ‘상담 안내 종결 7건’은 112신고를 접수한 현장 경찰관들이 통상적 신고 처리 절차에 따라 조치를 취한 결과이지, 출동 의무를 소홀히 한 건 아니라는 주장입니다.
한편, 현장 경찰관에게 상황을 물었다면 엉뚱한 해석이 나오지 않았을 것이라는 지적도 있습니다. 경찰 내부 사실 관계를 한 번 더 확인했다면, 일주일도 안 되어 "현장 출동 종결은 11건 중 4
이에 대해 이태원 파출소 소속의 한 경찰관은 한국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우리에게 한 번만 먼저 물었어도 엉뚱한 설명은 하지 않았을 것"이라며 "해명 이유도 언론 탓을 하는 '유체이탈 화법'에 화가 난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습니다.
[디지털뉴스부]